隨(수)는 元亨(원형)하니 利貞(이정)이라 无咎(무구)-리라 [本義(본의)]元亨(원
형)하나
쫓는다는 것은 크게 형통하니 곧음이 이롭나니라 허물없으리라 본래의 뜻은
크게 형통 하나
* 잔주에 하길 隨(수)는 從也(종야), 卽(즉) 따르고 쫓는다는 의미이다 괘 변함
으로써 말하여볼진대 본래 困卦(곤괘) 陽氣爻氣(양기효기) 九二(구이)爻(효)로
부터 아래로 내려와선 그 陽氣爻(양기효)가 初位(초위)에 居(거)하고 또
(서합)卦(괘)로부터 上爻(상효)에 있던 陽氣爻(양기효)가 九五(구오)로 내려와
선 居(거)하게되고 火水未濟(화수미제)卦(괘)로부터 오는 것이 兼(겸)하여지는
것이니 이 두가지의 변하는 형태를 볼 것 같으면 다들 강함이 와서는 부드러움
을 쫓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두 개의 체질로서 말하여 본다면 하는 짓이 이쪽
을 움직이여선 저쪽을 기뻐하게 함에 역시 쫓는 뜻을 가지는지라 그러므로 따
름을 하대 몸이 사물을 잘 따르면 사물이 몸을 쫓아온다는 것이라 저와 이가
서로 쫓아선 그 소통됨을 쉽게한다, 소통시켜선 바꿔지게 한다 그러므로 그 점
이 크게 형통함이 된다 그러나 필히 그 굳고바름에 서만이 이롭게 될 것이니 이
로 인하여서만 이에 허물없음을 얻게된다 만약 따르는 바가 바르지 못한 것이라
면 비록 크게 형통한다하여도 허물 둠에는 면치 못할 것이다
춘추전에 穆姜(목강)이 말하기를 이 네가지덕을 두어서만이 허물이 없다하니
내 다 가지지 못했는지라 어떻게 쫓을 것인가 이제 이 네가지 덕을 살필진대 비
록 본래의 뜻은 아니나 그렇다해도 그 자세를 낮추는 것을 云云(운운) 하는 것
이니 [그부드러움에 내리기를 이르고 이르는 것이니] 深奧(심오)한 占(점)法
(법)의 가리키는 뜻을 얻는다할 것이다
彖曰隨(단왈수)는 剛來而下柔(강래이하유)하고 動而說(동이설)이 隨(수)-니
단에 가로대 쫓는 것은 강함이 와서 부드러움에 내리고 움직이고 즐거워함이
쫓는 것이니
* 괘변 괘덕으로써 괘명의 의미를 해석함이다
大亨(대형)코 貞(정)하야 无咎(무구)하야 而天下(이천하) - 隨時(수시)하나니
크게 형통하고 곧아야만 허물없어서 천하 시기 적절함을 쫓나니라 본래의 의미
는 천하 쫓나니 ....
王肅本(왕숙본)[주역 해석서의 하나]에서는 時字(시자)로 創作(창작)되어 있다
이제 응당 쫓아서 해석한다 괘의 말씀대로 잘 이같이 한다면 천하가 쫓는바가
될 것이다
隨時之義(수시지의) - 大矣哉(대의재)라
시기를 쫓는 뜻 자못 크다 본래의 뜻은 쫓음과 시기의 의미 크다
왕숙본 에서는 時字(시자)가 之字(지자)아래에 있다 이제 응당 쫓는다
象曰澤中有雷(상왈택중유뢰)-隨(수)-니 君子(군자)- 以(이)하야 嚮晦入宴息(향
회입연식)하나니라
상에 말하대 못 가운데 우레가 있음이 쫓는 괘상이니 군자가 응용하여 그믐으
로 향하거든 들어가선 잔치하고 休息(휴식)하나니리
* 우레가 못 가운데 갈무려진 것이 시기를 쫓아선 休息(휴식)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