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6,230건, 최근 0 건
   
사주 신비경 27
날짜 : 2005-06-27 (월) 00:18 조회 : 3288

* 다음은 주자[朱子] 명조이다

庚 甲 丙 庚
午 寅 戌 戌

이름 그 대로 붉은 아들 소이 地支(지지)에 火局(화국) 食傷(식상)을 두었다는
뜻이다
所以(소이) 火局(화국)食(식)傷(상)이 잘 발달 꽃퍼럼 활짝 피어선 天干(천
간)에도 그 빛을 비추도록 튀어나와 있다는 뜻이리라
七(칠)殺(살) 官鬼(관귀) 를 丙午(병오) 食傷(식상)이 巧妙(교묘)하게도 近接
(근접)에서 제압하고 있는 모습이다

* 주자 [朱子, 1130~1200]
요약
중국 송대(宋代)의 유학자.

호 회암·회옹·운곡산인·창주병수·둔옹
본명 희
별칭 자 원회·중회
국적 중국 송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중국 푸젠성 우계
주요저서 《사서집주》
본문
자 원회(元晦)·중회(仲晦). 호 회암(晦庵)·회옹(晦翁)·운곡산인(雲谷山人)·
창주병수(滄洲病?)·둔옹(遯翁). 이름 희(熹). 푸젠성[福建省] 우계(尤溪) 출
생. 선조는 대대로 휘주무원(徽州?源:安徽省)의 호족으로 아버지 위재(韋齋)는
관직에 있다가 당시의 재상(宰相) 진회(秦檜)와의 의견충돌로 퇴직하고 우계에
우거(寓居)하였다. 주자는 이곳에서 14세 때 아버지가 죽자 그 유명(遺命)에 따
라 호적계(胡籍溪)·유백수(劉白水)·유병산(劉屛山)에게 사사하면서 불교와 노
자의 학문에도 흥미를 가졌으나, 24세 때 이연평(李延平)을 만나 사숙(私淑)하
면서 유학에 복귀하여 그의 정통을 계승하게 되었다.

그의 강우(講友)로는 장남헌(張南軒)·여동래(呂東萊)가 있으며, 또 논적(論敵)
으로는 육상산(陸象山)이 있어 이들과 상호 절차탁마(切?琢磨)하면서 주자의 학
문은 비약적으로 발전 심화하여 중국사상사상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
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19세에 진사시에
급제하여 71세에 생애를 마칠 때까지 여러 관직을 거쳤으나, 약 9년 정도만 현
직에 근무하였을 뿐, 그 밖의 관직은 학자에 대한 일종의 예우로서 반드시 현지
에 부임할 필요가 없는 명목상의 관직이었기 때문에 학문에 전념할 수 있었다.

그의 학문을 저서를 통해서 관찰해 보면 46세까지를 전기, 이후 60세까지를 중
기, 61세 이후를 후기로 하는 3기(三期)로 대별할 수 있다. 주자연보(朱子年譜)
에 의해 전기 저서를 순차적으로 열거하면 《논어요의(論語要義)》 《논어훈몽
구의(論語訓蒙口義)》 《곤학공문편(困學恐聞編)》 《정씨유서(程氏遺書)》
《논맹정의(論孟精義)》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팔조명신언행록(八
朝名臣言行錄)》 《서명해의(西銘解義)》 《태극도설해(太極圖說解)》 《통서해
(通書解)》 《정씨외서(程氏外書)》 《이락연원록(伊洛淵源錄)》 《고금가제례
(古今家祭禮)》로 이어져 《근사록(近思錄)》의 편차(編次)로 끝맺었다. 이 전
기는 북송의 선유(先儒)인 주염계(周濂溪)·장횡거(張橫渠)·정명도(程明道)·
정이천(程伊川)의 저서교정과 주례에 전념하고, '논어·맹자' 등은 차기(次期)
의 예비사업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즉, 주자의 학문적 기초가 확립된 시기로서 그것이 《근사록》에 집약된 것으
로 보인다. 그후에 논적이었던 육상산 형제와의 아호사(鵝湖寺) 강론에서 존덕
성(尊德性)에 대해 도학(道學)의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중기에는 《논맹집주혹
문(論孟集註或問)》 《시집전(詩集傳)》 《주역본의(周易本義)》 《역학계몽(易
學啓蒙)》 《효경간오(孝經刊誤)》 《소학서(小學書)》 《대학장구(大學章
句)》 《중용장구(中庸章句)》 등이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사서(四書)의 신
주(新註)'가 완성된 점이다.

60세 때는 《중용장구》에 서문을 붙여 상고(上古)에서 후대까지 도학을 전한
성현(聖賢)의 계통을 밝혀 도학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후기에는 오경(五經)에
손을 대어 《석존예의(釋尊禮儀)》 《맹자요로(孟子要路)》 《예서(禮書:儀禮經
傳通解)》 《한문고이(韓文考異)》 《서전(書傳)》 《초사집주후어변증(楚辭集
註後語辨證)》 등이 있다. 더욱이 71세로 생애를 마치던 해 3월, 《대학》
의 '성의장(誠意章)'을 개정(改訂)한 점으로 미루어 그의 《사서집주(四書集
注)》에 대한 지정(至情)이 어느 정도이었는지 엿볼 수 있다.

주자의 정치에 대한 의견은 〈임오응조봉사(壬午應詔封事)〉나 〈무신봉사(戊申
封事)〉에 나타나 있으며 또 절동(浙東)의 지방관으로 있을 때 대기근(大飢饉)
을 구제하였다는 실적도 있으나 만년에는 권신의 미움을 사 그의 학문이 위학
(僞學)이라 하여 많은 박해를 받았으며, 해금(解禁)이 있기 전에 죽었다. 그후
그의 학문이 인정되어 시호가 내리고 다시 태사(太師)·휘국공(徽國公)이 추증
(追贈)되었다. 그의 유언을 수록한 것으로는 주자의 막내아들 주재(朱在)가 편
찬한 《주문공문집(朱文公文集)》(100권, 속집 11권, 별집 10권)이 있고, 문인
과의 평생문답을 수록한 여정덕(黎靖德) 편찬의 《주자어류(朱子語類)》 140권
이 있다.

* 다음은 부자 石崇(석숭)이의 조이다

壬 丙 壬 己
辰 申 申 卯
차 사주도
주자 명조와 같이 그 칠살 관귀를 근접에서 식상이 제거하는 모습이다
그리곤 한술 더떠선 묘신 암합 진신 암합 하여선 그 재성을 아주 크게 불려 놓
는 모습이다
교묘한 것이 년간기자가 월간 임자를 제거 하는데 그묘자가기자를극제하여선 기
자가 임잘르제거치못하게끔방훼할 것 같아도 그옆에 신자가 묘자를 암합함과동
시에 원진극하여선 누름이라 이래 기자가 힘을 써선 칠살임을 제거 시키는 모
습 이다 소이 양신이 설사 임자가설기 귀적노릇을한다하여도 그능히 감당하고
선 그 역량을 묘자를 억제하는데 쓸수 있다는 것이리라
묘자 문호를 열고 들어가니 어미모자형 두 개가 누운 형태라 여기서는 그 이민
우 조와 같이 푸는 것이 아니라 天干(천간)이 到 (도충)이라 그 젓가락이 되어
선 집어 오는데 바로 未와 酉字라는 것이다 이래되면 連[연] 太陰(태음)이 되
는 지라 그 富裕[부유] 하기가 산더미 같다는 것이라 그리고선 그 위에 새가
둥지를 틀고선 지금 그 새가 주둥이 끝에 비싼 보배를 물고선 둥지에 들어가선
上樑(상량)대를 삼으려고 하는 모습이고 양옆으로는 壬字(임자) 새가 펄펄 날
아 왕래하고 그래 드나드는 것을 표현한다 할 것이고 己字(기자)亦是(역시) 乙
字(을자)등 새의 환태 모습이라 할 것이다 , 辰字(진자)도 역시 새의 모습이
고, 새로 보면 새 아닌 것이없으니 申字(신자)도 오락가락하는 새의 모습이요
卯字(묘자)도 역시 그 門戶(문호)로서 점 새가 날아 왕래할 것 같으면 알이라
는 卵(란)字(자)가 된다 이래 모두 돈 긁어 모으는 새가되어 있는 모습이라 할
것이다

*석숭 [石崇, 249~300]
요약
중국 서진(西晉)의 부호(富豪).

국적 중국 서진(西晉)
출생지 발해(渤海) 난피[南皮]
본문
발해(渤海) 난피[南皮] 사람. 징저우자사[荊州刺史]가 되었다. 진(晉)나라 남조
(南朝)의 고급 관리 중에는 부호가 많았는데 그 대표적인 인물이다. 팔왕(八王)
의 난(亂)을 만나 조왕(趙王) 윤(倫)에게 살해되었다.


   

 


 

Copyright ⓒ www.lifesc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