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1. 豊之小過卦(풍지소과괘)
飛神(비신)
戌
申
午 世
亥 申
丑 午
卯 辰 動
飛鳥(비조)라 以凶(이흉), 갑자기 나르는 새라 나쁘게 적용될 것이다 , 象(상)
에曰(왈) 갑지기 나는 새 나쁘다하는 것은 그래 나라 가봤자 바르게 호응해줄
자리 소이 그 쫓겨서 나는 듯 한 행위이므로 그 무슨 목적의식을 두고 나르는
그런 행위가 아니라서 좋을 것이 없다는 것이다, 먹이를 추적한다든가 그짝을
찾아 나른다든가 이런 것이어야 할 것인데
그 거주하는 곳에서 불안이 조성되어 나르는 것이므로 지향할 곳 그려논 것 아
닌지라 그 좋을 것 없다하였다 소이 남 원하는 것 실어다주고 갖다주기 위해서
그 수레 예기발 하는데 그 卯字客(묘자객)을 태운 그 午字(오자)라는 수레 끄
는 역마 申(신)으로 나는 것이라 소이 傳書鳩(전서구)처럼 큰 득도 없이 소임
만 걺어 지고 움직이는 그런 행동도 된다할 것이다 , 전서구는 그래도 먹이래
도 얻어먹을 가망이 있다할 것이지만 이렇게 나는 자는 쫓기고 남의 몰아세움
에 의해서 그 원 들어주기 위해 헌신하듯 하는 것인데 고달플 뿐이다
* 세주 비견 태양 수레가 예기를 卯字(묘자) 門戶(문호)에서 銳氣(예기)를 진축
으로 번쩍번쩍 뻗쳐선 卯字客(묘자객)을 태우고 쭈욱 올라가선 戌字(술자)에게
다가 접촉시키는 지라 이래 갑자기 높이나는 새가된다 태양이 하늘에 있는데
빛 뻗침에 새가 그사이를 길잡이 하여 자기 접촉할 때를 보고 날아가는 형세인
데 그 앞선 수레와 역마가 세주비견 원진 놓고 역마 기운을 앗는 모습인 것이
다 세주 비견과 동질이니 그 같은 상항이 연속으로 접촉 될 것이라 세주에게
도 불리할 것이라는 것이다
* 變卦(변괘) 雷山小過卦(뇌산소과괘) 初爻動(초효동)으로 볼 것 같으면
爻辭(효사)에 이르기를 陰(음)이 넘친다는 것은 亨通(형통)하니 바르고 굳음
이 마땅하니 작은 일은 옳을 것이나 큰일은 옳치 못하니 나르는새 끼치는 울움
소리 오르는 것은 마땅치않고 내려오는 것은 크게 길하다 했는데 이러한 象(상)
이나 時期(시기)를 當到(당도)하여 初爻動(초효동)은 나르는 새이니 나쁘다 했
다
初陽(초양)의 자리에 있는 陰爻(음효)가 이미 不適當(부적당)한데 不適當(부적
당)한자리에 있는 九四(구사)와 呼應(호응)하는 象(상)이 마치 땅에 앉아 있던
새가 갑자기 呼應(호응) 받아서 날라 오르는 상이라 이는 너무 높이 날라 올라
갈 것이므로 그래서 흉하다는 것이다 바르지 못하게 급작스럽게 무언가에 호
응[ 놀램=충격]받아 새가 오른다는 것은 어떻게 좋다 할것인가? 만약상 새가 먹
이를 쫓는다던가 짝을 찾아서 정상적인 範疇(범주)내애서 오르내린다면 그것은
瑕疵(하자)잡힐 行動(행동)이 아닌 것인데 여기선 그 爻象(효상)의 움직임이 그
렇치 못함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 于先(우선)은 世主(세주) 喪門(상문)이 動(동)해 破敗殺(파패살)을 지고 드
는 것이라 그 吉(길)한 말을 할리 없다
* 官鬼(관귀) 午字(오자)가 四爻(사효)에서 世(세)를잡았는데 初爻動(초효동)하
여 世生應(세생응)하던 辰字(진자)를 卯字(묘자)가 回頭剋(회두극) 쳐주니 世主
(세주)의 氣運(기운)이 빠지지 않아 좋을래기인데 왜 흉한말을 하는가? 이것
이 本宮(본궁)의 文性(문성) 辰戌(진술)이 發(충발)을 놓는속의 一顆(일과)이
니
發(충발)을놓아 감싸고 있던 辰字(진자)文性(문성)이 回頭剋(회두극)을 맞고
있는중 午字(오자)世主(세주) 文性(문성)인 卯字(묘자)가 隱伏(은복) 二爻(이
효) 世主(세주)比肩(비견) 午字(오자)뒤에 숨어 있으니 文性(문성)이 나타나 있
지않은 것을 갖고 중점적으로 해석했다 보아야 할것이라 이것이 內外(내외)淨
陰淨陽論理上(정음정양논리상) 玄武(현무)句陳(구진) 爻(효)가되니 父母(부모)
의 憂患(우환)을 끼고 있다는 것이라 부모 이미 돌아간자는 부모에 當(당)할만
한자의 우환이요 그러한 일거리의 근심이 된다 할 것이다
兩午(양오)가 木性(목성)의 氣運(기운)을 洩氣(설기)할려 들것이요 申字(신자)
元嗔(원진)을 應對(응대)하고 있는중 원진이 또 근접해 있는 상이라 救援(구
원)하는 水性(수성) 福性(복성)없고 氣力(기력)만 損失(손실) 시키는 자만 가득
하니 어이 文性(문성)이 베겨 날것인가?
卦(풍괘)를보면 文性(문성)世主(세주)에 應生世(응생세)이나 前後世(전후세)
가 剋(극)이요 兄性(형성)이 文性(문성)에게 回頭生(회두생)받아 文性(문성)의
氣力(기력)이 微弱(미약)해지는 모습이요 官性(관성)이 元嗔(원진) 回頭生(회두
생)을받고 卯字(묘자)가 또한 進頭(진두) 辰字(진자)를 剋(극)하여 붙들어드리
니 官旺(관왕)해지나 卯字(묘자)의 弄奸(농간)이 심하다할 것이다
결국은 文性(문성)申字(신자)가 卯字(묘자) 元嗔(원진)의 弄奸(농간)으
로 破(파)敗(패)를 보는모습이 亥字(해자)에게 氣運(기운)을 뺏기고 午字(오
자)의 부림먹이가되고 午字(오자)는 丑辰(축진)을 生(생)하고 丑(축)은 申字(신
자)가生(생)한 亥字(해자)를 먹고 해선 丑辰(축진)이 卯字(묘자)의 부림먹이가
된다는 것이라 卯字(묘자)福性(복성)의 操縱(조종)으로 인해서 文(문)宮(궁)이
불리하게되는 모습인 것이다 이괘 저괘 卯字(묘자)의 일이라는 것이다
* 원래 小過卦(소과괘)는 卦象(괘상)이 나쁜 의미이다 하지만 爻象(효상)動(동)
으로 볼진데 動(동)해드는 卯字(묘자) 財性(재성)에 弄奸(농간)이 심하여 丑辰
(축진)을 살찌워서 부려먹고자 하는데서 부터 제반 事端(사단)이 벌어지는 것이
라 卯字는 부모[金宮(금궁)의 文書(문서)宮(궁) 辰丑(진축)을 말함]를 먹을려
하는 者(자)이니 유추 비유한다면 곧 흙땅[화장터]이라할 것이다
卯字(묘자)가 世主(세주)의 먹이이며 驛馬(역마)인 午字(오자)와 元嗔間(원진
간)이라 그 氣力(기력)을 썩죽여선 損傷시키려 드는 것이나 결국엔 卯字(묘
자)가 世主(세주)를 生助(생조)하는 構造(구조)로 변해가니 계속 나쁜 말만 할
수는 없는 것이라 그래서 땅을파서 샘을 얻으니 마침내 형통한다 했음인 것이
다
나르는 새가 下順(하순) 上逆(상역)하니 動(동)해 들어가선 五段階(오단계)를
逆(역)剋(극)하여 오르니, 내리는 것은 순생의 논리일 테니 내리는 것은 대길
하다 하리라
卦(풍괘)로 變(변)하면 初爻(초효)로부터 木剋土(목극토) 土克水(토극수) 水
剋火(수극화) 火克金(화극금) 하여 後世主(후세주)까지 五段階(오단계)를 剋
(극)하여 오르는 모습이나 만약상 세주로부터 내려온다면 順(순)生(생)을 받는
논리가 될터이니
申午(신오) 相間(상간)에 土性(토성)이끼면 申(신)은 土(토)에 生(생)을 받
아 내리고 土(토)는 午(오)의生(생)을 받아 내리고 午字(오자)와 亥字(해자)相
間(상간)에 木性(목성)을 넣으면 午字(오자)는 木性(목성)의 生(생)을 받아 내
리고 木性(목성)은 亥(해)水性(수성)의 生(생)을 받아 내리고 亥字(해자)와 丑
字(축자)사이에 金性(금성)을 넣으면 亥字(해자)는 金性(금성)의 生(생)을 받
아 내리고 金性(금성)은 丑土性(축토성)의 생을 받아 내리고 丑字(축자)와 卯
字(묘자)상간에 火性(화성)을 넣으면 丑字(축자)는 화성의 生助(생조)를 받아
내리고 火性(화성)은 卯字(묘자)木性(목성)의 생을 받아 내린다 할 것이다
어찌된 이유인가? 오르는 逆(역)段(단)階(계)의 반대이기 때문에 그러하다 하
리라 이러모로 전반이 올랐다면 후반은 내릴것이라 그래 형통하게 되있다 하리
라
世主(세주)의 比肩(비견)이 進頭(진두) 元嗔(원진)生(생)이라 世主(세주)財性
(재성)도 進頭生(진두생)이니 兄弟(형제)와 財性(재성)이 모두 손실이 있게 된
다 하리라
* 天崩(천붕)하니 父(부)가 有故(유고) 하다는 것이요 地陷(지함)하니 母(모)
가 有故(유고) 하다는 것이다 만약상 父母(부모) 生前(생전)하시지 않거나 나
이 많으신 어른 노친네 같으신 분들은 그 부모에 당하는 것만한 事(사)에 憂患
(우환)을 말하거나 좋지 못한 일이 있음을 가리킨다 하리라 小過(소과)는 태양
이 구름속에든 형국이다
*세주 대상에서 상문이 동작한다는 것은 처음에 좋을 것이 없다는 뜻이리라
* 辰(진)이 동작하면 오단계극을 만들어선 새가 오르는 모습인데 좋지 못하다함
은 그 세주곁을 지나면서 하나도 세주에게 덕을주는 비신이 없다는 것이리라 亥
(해)는 회두극을 칠것이고 丑(축)은 원진살을 놓을 것이고 卯(묘)는 파패살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卯字(묘자)가 그 근기역할도 하는지라 마침내 형통한다 함
이리라
* 452 恒之小過卦[항지소과괘]
飛神
戌
申
午 世
酉 申
亥 午 動
丑 辰
六二(육이) 過其祖(과기조) 遇其 (우기비) 不及其君(불급기군) 遇其臣(우기
신) 无咎(무구) [本義(본의)]遇其臣(우기신) 无咎(무구)
象(상)曰(왈) 不及其君(불급기군) 臣不可過也(신불가과야) = 그 할아버지를 지
나쳐선 그 할머니를 만난다 그 임금의 위치까진 미치지 못하고 [五位(오위)의
위치를 말할 것임], 그 신하[ 九四(구사)의 위치를 말할 것임]를 만나보게 될
것이다 [本義(본의)]는 그 신하를 만나는 것이니 허물없을 것이다
象(상)에 말하기를 그 임금에 밋치지 못한다 함은 신하를 지나치지 못할 것이
기 때문이라하 하였다 六二(육이)가 陰(음)죽이므로 그 六五(육오)와는 배합
이 되질 않을 것이고 그 홀수 陽位(양위)에 머물러 있는 구삼의 할아버지는 지
나쳐놓고 그 四位(사위)에 머물러 있는 陽(양)의 죽 九四(구사)를 만나보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此(차) 陽(양)의 죽은 신하의 위치로 보좌하는 죽이지 五
位(오위) 주도권 임금의 위치는 아니란 것이다
세주 비견이 회두극 맞는 것은 세주에게 그 比肩(비견)의 역마 역할을 하던 자
를 진취 財性(재성)을 만들어 놓는 것이라 이래 별탈 없다는 것이리라
* 變卦(변괘) 雷山小過卦(뇌산소과괘) 二爻動(이효동)으로 볼 것 같으면
爻辭(효사)에 이르기를 小過(소과)는 亨通(형통)하는 卦(괘)이니 굳고 바름
이 有利(유리)한지라 작은일은 할수 있을 것이나 큰일은 할수 없을 것이다 나
르는 새 울움소리 냄에, 올라가는 것은 마땅찮고 내리는 것은 마땅해서 크게길
하리라라 하는 象(상)이나 時期(시기)를 當到(당도)해서 二爻(이효)는 그
할아버지를 지나쳐서 그 할머니를 만나는 것이라 그 임금님에게는 미치지 못하
고 그 신하를 만나면 별탈 없으리라 했다
二爻(이효) 中正位(중정위)에 있는 陰爻(음효)가 위로 六五(육오)의 呼應(호응)
한바 되지 않고 近接(근접)효의 九三(구삼) 九四(구사)와 陰陽(음양) 交接(교
접) 關係(관계)를 維持(유지) 하게되는 狀態(상태)이라
그래서 그 中正(중정)한 德(덕)으로 이러한 不正(부정)한 實權(실권)잃어 老
衰(노쇠)한 할아버지들의 만남을 뿌리치고 呼應(호응)하는 陽(양)爻(효)는 없지
만 六五(육오)의 有德(유덕)한 女王(여왕) 할머니에게 닥아가려는 모습을 爻
辭(효사)로써 말하고 있다 그러나 亦是(역시) 呼應(호응) 받지못함으로 여왕에
게는 미치지 못한다는 뜻이요 三位(삼위) 바르나 中德(중덕)이 없는 남자[듬직
하게보이나 내심이 비뚜러져 있다 ]와 四位(사위) 中正(중정)의德(덕)을 모두
잃은 남자 [쭈그렁 시들어 빠진 겉모습에 심상까지도 바르지 못하다
그러나 三四(삼사) 두陽(양)爻(효)들이 內心(내심) 二爻(이효)에게 잘보일려
고 柔順(유순)하게 나댈것임으로 見物生心(견물생심)으로 덕을 갗추게되는 君子
(군자)가 된다 그래서 二爻(이효)로 볼진데 그리 늑대의 무리들은 아닌 것이다
늑대의 무리 같으면 爻辭(효사)가 无咎(무구)라 하겠는가?] 와 함께 하게 된
다는 것이다
六二(육이)의 中正之德(중정지덕)을 갖춘 한 여인이 그 몸가짐을 정숙하게
함으로 九三(구삼)九四(구사) 陽爻(양효)들이 호락하게 상대하지 못한다 할 것
이다 正(정)히 바른 짝을 만나지못한 아릿다운 여인이 외로히 혼자 세월을 보
내는데 짝사랑하는 남자들이 주위에서 맴도는 그런 모습이라 하면, 적당한 유추
라 하겠다
뭇 사내들의 정 담긴 선망의 대상이 되니 날로 더욱 어여뻐져만 간다하리라
* 午字(오자) 官性(관성) 世主(세주)가 四位(사위)에서 威權(위권)을 잡고 있는
데 辰字(진자)應(응)을 대하고 있음에 洩氣(설기)하여 對相(대상)을 생함이라
괴로운감이 없지않다
그러나 二爻(이효) 比肩(비견)이 動(동)하여 回頭剋(회두극)을 맞으니 그 뿌리
를 끊어놓는 모습이라 辰字(진자)가 退身(퇴신)되니 世主(세주)의 力量(역량)
을 뺏기길 덜할래기다 三爻(삼효) 申字(신자) 먹이가 進身(진신)됨에 그먹이
의역량이 增大(증대)된다하리라 外生內爻(외생내효) 構造(구조)로 되어지니 動
(동)한뒤에는 應生世(응생세)의 構造(구조)라 畢竟(필경)은 利得(이득)이 있으
리라
世主(세주)比肩(비견)이 回頭剋(회두극)을 맞으니 재물손실은 덜할것이나 兄弟
宮(형제궁)에 근심이 아니면 그 內卦(내괘)의 中宮(중궁)이니 人生(인생)의 同
伴者(동반자) 婦人(부인)에 근심이리라 그도 저도 아나라 하면 傷官(상관)이
들고 치는 것이므로 作事(작사)의 방훼요 身上(신상)에도 좋을게 없다 하리라
亥字(해자)玄武(현무)가와서 들고치니 梁上君子(양상군자)가 오리라 南方(남
방) 午字(오자) 朱雀(주작)이 四位(사위)에서 世(세)를 잡으니 誹謗(비방)을 免
(면)하기 어렵다 했다
세주비견이 회두극 맞는 것이니 세주에겐 나쁘지 않다는 것이요 그 형제궁에 근
심이 될것이라는 것이다 세주 비견이 역마를 먹고선 銳氣(예기)辰字(진자)를 설
기해 놓는 바람에 그 세주 驛馬(역마)의 根氣(근기) 戌字(술자)를 초위에서 도
충시켜선 어둠속에 휩싸이게 하였던 것인데 이제 그 비견이 회두극 맞고 역마
는 進就(진취)하여선 회두극치는 亥字(해자)의 근기 역할을 하는지라 나쁜 상항
이 아니란 것이요
그 비견이 설기하던 銳氣(예기) 辰字(진자)는 쇠락하여 丑字(축자)로 퇴각함에
戌字(술자)를 충발시키지 못함으로 인하여서 그 어둠이 걷히는 상항이 도래하
게 되었다는 것이리라 구름이 걷히고 창공에 태양이 찬란하게 빛날 것이라는
것이다 혹 축자가 술자를 원거리에서 삼형할가 우려한다 할 것이나 거리멀고
辰丑(진축)이 서로 破(파)를 입었을 것이고 그래 보이는 것은 그 功課(공과)를
거둔다음 태양이 언제까지나 창공에 떠 있을수 없는법 태양의 역마 근기가 다
해 소이 해지는 경향을 말해준다는 것이리라
* 483 豫之小過卦[예지소과괘]
飛神
戌
申
午 世
卯 申 動
巳 午
未 辰
弗過防之(불과방지)면 從或 之(종혹장지)라 凶(흉) 하리라, 象曰(상왈) 從或
之(종혹장지) 凶如何也(흉여하야) 인고 ?. 지나치지 않고 [못살게 굴어]막
아 재키면 혹 그 죽은 귀신이 쫓아와서 해꼬지 하리라 나쁘다, 상에 말하
길 그래 쫓아와선 해꼬지 하는 맛 당함이 어떠 하뇨-? 아주 보복 응징 받는 것
이 그 [제삼자의 입장으로 볼적에] 고소 하지 않다 더냐 ?
* 비견 역마가 예식 지난 다음 늦게 도착한 내 賀客(하객)의 근근기를 들고치
는 것이라 상문이 진취된 현상을 일으켜 나 예식장에 대해 좋은 말을 할 턱이
없다는 것이다 죽은 원귀 조객이 되어선 쫒아와 갖곤 해하려 들것이라 이래 지
나치지 못하게하고 방훼한 것이 된다면 혹 쫓아와 작해를 짓는다 했음인 것이
다
이 말은 무슨뜻인가 함 예식장 자신들의 실익만을 챙기기 위해 앞 혼인식을 서
둘러 밀어낸 결과로 인해서 늦게 도착한 하객이 앞 혼인식을 만나지 못하게끔
방훼한 것이 된 것이라 지나쳐서 얼르 가선 만나게 하지 않고 하객을 물고 늘
어지고 앞의 혼인식은 얼르 거둬치게 했음에 하객이 앙심을 품고 가만히 있질
않는다는 것이다
喪門(상문) 賀客鬼(하객귀)가 지나쳐서 앞서의 것을 만나지 못한 결과로 째려
보는 형태로 변한 것이라 제 태만한 생각은 않고 투덜되고 예식장을 원망한다
는 것이다 그러면서 앞서 式(식)한 세주 기운을 대생으로 당겨 받자 한다는 것
이라 앞서의 일을 근기를 삼으니 앞서 지난 세주가 기운이 앗길 내기인 것이
라 미끄러져선 엉덩이를 않까 부칠리 있겠는가 이다
* 變卦(변괘) 雷山小過卦(뇌산소과괘) 三爻動(삼효동)의 飛神作用(비신작용)
을 볼 것 같으면 飛神(비신)이 아래로부터 위로 辰午申(진오신) 午申戌(오신
술)로 서게되는데 世主(세주)가 七(칠)世(세)로서 四位(사위)午字官性(오자관
성)에 떨어진다 官性(관성)이 四位(사위)에서 世(세)를 잡았는데 辰字(진자) 文
性(문성)이 應對(응대)를 하고 있어 世生應(세생응)이라 對相(대상)에게 洩氣
(설기)하는 모습을 취하게 되니 그力量(역량)이 밖으로 세어나가게 된다는 의미
이리라
三位(삼위) 申字(신자)兄性(형성)이 動(동)하여 卯字(묘자) 元嗔(원진) 進頭
剋(진두극)을 접속하게됨에 二位(이위)午字(오자) 官性(관성)은 退位(퇴위) 그
劫財(겁재)를 巳字官性(사자관성)을 맞는 모습이요 初位(초위) 辰字(진자) 文
性(문성)은 未字(미자)로 進就(진취)하는 모습이다
小過(소과)之(지) 卦爻辭(괘효사)를 보면 小過(소과)란 卦(괘)에 陰爻(음효)
가 陽爻(양효)보다 배나 많아 양효를 가운데두고 음효를 양가에로하여 있음에
所以(소이) 陰氣(음기)가 넘친다는 뜻인데 이러한 陰氣(음기)가 지나친모습 또
한 형통하는 면이 있다하니 굳건하고 바르어야만 마땅하고 작은 일엔 바르다
할것이나 큰일을 진척시키기엔 바르지 못하다 하였는데 그 형상이 새 나르는
깃 형상을 하고 있음이라 새가 나르는 깃소리 오르기엔 그 날개짓 하는 게 벅
찬 모습의 소리요 내려 올적엔 힘이않드는 날개 짓이라 그 오르는 데는 마땅
치 않고 내려오는데는 마땅해서 크게 길하다 하였다
九三(구삼)의 爻辭(효사)를 볼 것 같으면 弗遇(불우)란 만나지 않는다는 것
인데 여기서 만나지 않는다는 것은 지나치는 것을 말하는데 지나친다는 것은
그 행위가 지나치다 는 것이니 所以(소이) 너무 한다라고 풀으면 된다할 것이
다 그렇게 너무지나친 행동으로 무언가 갈려고 하는 것을 막아 재키면 쫓아와
선 혹여 害(해)코지 할 것이라 나쁘다하였다 卦象(괘상)을 보면 陽氣爻(양기
효)가 三四位(삼사위)로 서있으면서 서로 對相(대상)에게 呼應(호응)받으려는
모습이라 이래 三位(삼위)가 그 對相(대상) 上位(상위)에 呼應(호응) 받고자 움
직였는데
이로 말미암아 나아가다보니 가로막는 방훼아닌 방훼자 九四(구사)를 만나게
된다 九四(구사) 역시 그 對相(대상) 初位(초위)와 죽을 맞출 의사가 있는데
九三(구삼)의 같은 陽氣(양기) 가로막음으로 인해서 선뜻 만나지 못하는 상황
인 것이다 所以(소이) 只今(지금) 九三(구삼)이 움직였다는 것은 此(차) 九四
(구사)의 갈길을 가로막아 방훼아닌 방훼로 막고 있는 역할의 행위를 담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시 장철 바쁜길에 원수가 외나무다리 만나서 원수원수하다가
점심참이 늦어간다는 각설이 타령처럼 지금 그런 곤경에 처한 모습인 것이다
외나무다리도 아닌데는 너는 너대로 갈길이 있고 나는 나대로 갈길이 있다하
여 서로 비켜가면 될것을 네놈이 부정한놈이 내 앞길을 막고있다해서 서로 막
아 재키고 못가게 방훼를 하여재키면 그 서로 좋은 게 무엇이 있을 것인가 初
四(초사)가 만나려는 것은 그 위치가 바르지 않는 자들이 호응하는 것이라 또
未熟(미숙)한 위치로 가려고 하는 것을 가지 못하게 방훼하는 것이요 三上(삼
상)이 만나는 것은 자기위치들이라 하지만 그 中道(중도)를 이미 벗어나서 만나
는 것이라 또한 환영할바가 못된다 하리라 소이 지나친 행위로 말미암아 남 만
나려는 것을 못 만나게 한 결과를 빚었는지라 이래 그 원성 썩히 氣運(기운)이
같이 들어붙어 쫓아와서 害(해)코지 한다는 것이다
飛神作用(비신작용)上(상)에서도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 世主(세주)가 對相
(대상)을 보고 洩氣(설기)하는 입장은 무언가 氣力(기력)만 낭비시킨다는 것인
데 지금 動主(동주)의 입장으로 본다면 그對相(대상)에게 生(생)을 입고 있는
모습이라 움직여서 生(생)을 받고자 하는 狀況(상황)인 것이다 그래 움직였다
는 게 元嗔(원진)剋(극)을 물어드리는 모습이라 움직이는 활동이 움직이지 않
는 것만도 못하다는 결과를 가져온다 하리라 되려 상대방에게 덕을 입겠다는
게 相對(상대) 對相(대상)의 짝을 얻어주는 결과를 招來(초래)했다는 것이다
그 대상이 있어야할 값어치를 살려주는 역할을 한 꼴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動
(동)의 역할은 곧 세주인 자신에게 근접에서 도움을 주는 모습이지만 卯午(묘
오) 破敗(파패)殺(살) 작용을 일으킨 결과를 招來(초래) 했다는 것이니 세주뿌
리 역할을 해야할 卯字(묘자)木氣(목기)가 元嗔(원진)에게 물린 상황이라 뿌리
가 썩죽임 당하는데 그래선 世主位(세주위)가 對相(대상) 辰字(진자)에서 未字
(미자)로 되는 지라 合(합)의 구원을 얻는다하지만 그合(합)은 되려 나에 氣力
(기력)을 얻어야지만 힘을 쓰는 것인데 내가 뿌리가 썩죽임 당했으니 어찌 힘
을 쓸것이냐 이다
오위 역마 이끌림에 진행해봐도 그는 먹이가 아니라 되려 그 대상과 합해 水氣
(수기)를 이뤄 午字(오자) 火氣(화기)를 剋制(극제)하려 덤비는자일 뿐이니 그
억세게 드신 고달픈 旅程(여정)일 뿐이다 驛馬(역마)가 逆(역)한게 움직이니
比肩(비견)의 驛馬(역마)라 비견의 역마가 생조할 것만 같은 破敗(파패) 殺
(살) 卯字(묘자)를 물어드리니 卯字(묘자)가 그 對相(대상) 合火(합화)를 이루
어선 劫財(겁재) 利權(이권) 奪取(탈취)者(자) 역할을 할려 들것이라 내 역량
을 消盡(소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갈 뿐이다 身體上(신체상)으론 動爻(동효)
가 가랭이나 엉덩이 위치가 된다 할것이고 世主位置(세주위치)는 허리 배꼽 정
도위 위치가 된다 할 것이고
爻氣(효기) 三四(삼사)共(공)히 殃禍(앙화)를 만난 상황이라 하리라 辰字
(진자)가 初位(초위)에서 卯字(묘자) 업어드리는 구조는 역시 파패살을 업어드
림이라 하나도 이로울게 없고 하는 일은 빈손이 된다 하였다 신수도 비색하
다 했다 남과 부닥트리는 것은 종시 내게 불리한 바르지 못한 자이라 그자의 말
을 신용치 말라 하였다 二位(이위)午字(오자) 움직여서 亥字(해자)업어드리
는 구조 역시 불리하다하였다
대상이 元嗔(원진)으로 化(화)하니 橫厄(횡액)이요 亥字(해자)가 역시 官鬼
(관귀)로서 災殃(재앙)의 꼬리라 는 것이요 三位(삼위)엔 酉字(유자)가 떠러짐
이라 그 비견의 역마가 난동이 심할것이요 파패살을 到 (도충)剋(극)해서 튕
겨 내는 모습이다 但只(단지) 救援(구원) 要求者(요구자) 未字(미자)가 世主
(세주)의 合(합)으로서 그 辰字(진자)에서 未字(미자)로 進就(진취) 性向(성향)
을 띄고 到 (도충)을 받는지라 혹여 그 土性(토성)들이 모두 文性(문성)이 되
는데 그 文性(문성)으로 인하여서 財利(재리)가 일지 않을가 하는 말을 하고 있
다
그러니까 文性(문성)은 文書(문서)나 윗수장 집안의 어른들 이런 분들일 것이
다 丑(축)이 子(자)를 물어드리는 구조는 丑(축)이 原來(원래) 對相(대상) 喪
門(상문)辰字(진자)를 破(파)하고 生助力量(생조역량)寅字(인자)를 도우고 근
접 三位(삼위)에 辰字(진자)가 떨어지는데 寅字(인자)가 辰字(진자)를 操縱(조
종)하여 財性(재성) 申酉(신유)者(자)에 역량을 싣는다는 것이다 二位(이위)에
서 寅字(인자)가 亥字(해자)를 合木(합목)하고 巳字(사자)를 三刑(삼형)할것이
며 比肩(비견)의 生助力量(생조역량)이될것이니
일편좋다고만 할것인가? 財物(재물)이 西方(서방)에 있고 元嗔(원진)이 그 짝
子(자)를 물어드린 것이라 子(자)는 世主(세주)에게 官鬼(관귀)役割(역할)을 하
는자라 官鬼(관귀)가 未字(미자) 元嗔(원진)이 접속되니 朔方(삭방)이 不利(불
리)하다는 것이다 酉(유)가 午(오)를 물어드리는 구조는 역시 나쁘다하였다
比肩(비견)의 역마가 進身(진신)되어 도 比肩(비견)을 물어드린 형세이라 아
주 남방이 불리한 모습이요 그 대상이 元嗔(원진)丑字(축자)가 寅字(인자)의剋
制(극제)를 입는다하나 寅字(인자)는 世主(세주) 長生(장생)殺(살)로 元嗔(원
진)의 進就(진취)자리이라 모름지기 먼길 出行(출행)이 不利(불리)하다는 것이
다
* 辰戌(진술)到 (도충) 구름장속에 세주가 태양이 되어 그 대상 辰字(진자) 구
름장에게 가리워져 그 그 빛을 발산치 못하는 것을 갖다가선 에너지 손상되는
것을 대상으로 둔 것으로 봤는데 三位動(삼위동)으로 인하여 辰戌(진술)到 (도
충) 구름이 戌未(술미) 三刑(삼형)의 구름장 속이 되게 하고 그 세주 대상이 적
합이 太陰(태음)으로 돌아서게 하는 모습이라 마치 맑개 개어가는 밤하늘에 구
름이 저만치 동쪽으로 물나면서 고고한 달빛이 천하를 비추는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봐야하리라
달이 그 대상 태양으로부터 에너지 받는 수순이 卯巳未(묘사미)라 처음에 해에
게 돌아갈 力量(역량)卯字(묘자)가 해의 장생의 역량 에너지가 卯字(묘자)에 오
면 咸池殺(함지살) 桃花殺(도화살)로 빠지게되는데[ 또沐浴地(목욕지)이다 목욕
을 하면 한 허물을 벗고 새로워지게 되는데 그 목욕할적엔 자연 허물에 그 역량
이 좀앗겨 붙어 나갈것이라는 이치이다] 이는 곧 기력을 洩氣(설기)시키는 敗
(패)神(신)이라 해가 그 력을 덜리는 상황이 된다 그래선 巳字(사자) 해의 四寸
(사촌) 즉 햇빛을 생산하게되는데 그 햇빛을 받은 미자 달이 에너지를 공급받
는 게 되어 빛이 나게되는 것이다
卦(괘)의 本宮(본궁)은 원래 兌卦(태괘)로써 兌卦(태괘)의 正位(정위)는 酉字
(유자)인데 酉字(유자)는 太陽(태양)이 떨어지는 死地(사지)이지만 自然(자연)
卯字(묘자)의 到 (도충)을 받을 것이라 卯字(묘자)는 靑氣(청기)를 띄는 것인
데 청기의 도충을 받는 [亥(해)에 역량이 앗긴 흐린 水氣(수기)가 다 빠져나
간] 푸른 하늘이라는 것이다 즉 구름 한점 없이 물러간 푸른 하늘로도 된다 그
러한 푸른 하늘에 官祿(관록) 所以(소이) 푸른 하늘을 부리는 것이 午字(오자)
太陽(태양)이란 것이다 태양이 하늘에 떠서 行(행)하는 것을 창천하늘을 부려
서 서쪽으로 움직 여가는 것이다
그래서 酉字(유자)의 官性(관성)이 午字(오자)가되는데 이러한 午字(오자)
의 역량을 받는 것을 갖다가선 구름이나 달이라 하는 것이다 달은 그 빛으로
역량을 받고 구름은 그 烈寒(열한)의 역량을 받아 生成(생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구름은 그 해를 가리움으로서 배은망덕 그 역량을 손괴 시키는 것 또는
그 역량을 생조 받는 것으로 된다할 것이다 이러한 辰戌丑未(진술축미)는 雨露
(우로)를 生(생)하기 以前(이전)의 段階(단계) 구름이기도 하지만 西方金氣(서
방금기)를 生助(생조)하는 文性(문성)으로 된다 申(신)은 흐린날이라 하고 酉
(유)는 맑은날이라 할것인데 辰戌丑未(진술축미)가 상황에따라 여러 가지 변동
을 일으켜선 금기를 생조하기 때문에 그렇다 할것이니
만약상 一例(일예)로 丑戌未(축술미)가 三刑(삼형)을 한다면은 이것은 金氣(금
기)를 도우는 것이 깨어지는 모습이니 바르게 그 도우는 작용을 할수 없다는
것이고 [申字(신자)는 흐린날을 바라는 게 도우는 것이고 酉字(유자)는 밝은 날
을 바라는 게 도우는 것이리라 ] 辰戌丑未(진술축미)가 對稱(대칭)하여 있다
면 그氣力(기력)을 분발시키던가 아님 沖破(충파)를 하여 파괴시키던가 할 것
이다
辰(진)과 未(미)사이는 三刑(삼형)은 아니지만 역시 劫財(겁재)相間(상간)이
라 利權(이권)에 있어서 경쟁 상대자라 할 것인데 이것이 辰字(진자)가 未字(미
자)로 進身(진신)되었다는 것은 所以(소이) 金氣(금기)를 도우는 생조자가 進就
(진취)되었다는 의미이리라 正(정) 金氣(금기)는 酉字(유자)라 할 것인데 酉字
(유자)의 所望(소망)은 맑게 되는 것이라 맑게된다는 것은 창천인데 창천이 되
면 해는 자연 빛날 것이라
所以(소이) 午字(오자) 洩氣者(설기자) 本宮(본궁)의 文性(문성)辰字(진자) 喪
門(상문)이 未字(미자) 太陽(태양)의 適合(적합) 太陰(태음)으로 化(화)하는 것
은 太陽(태양)의 要求者(요구자)인데 그要求(요구)할 것을 얻을려면 먼저 그
力量(역량)을 좀덜어 빛이 되게하여 보내주어야 한다는것이다 소이 내가 도움받
겠다면 먼저 그 나에 역량을 좀 덜어 내야지만 해가없는 밤에도 해처럼 代身
(대신)하여 빛나는 역할을 담당 해준다는 것이리라
그렇다면 그는 本宮(본궁)에 文性(문성)이라 하였음으로 그文性(문성)에 해당
하는 것에게 祈願(기원)을 먼저 해야한다는 논리도 된다하리라 所以(소이) 三
位動(삼위동)은 높은 분에게 기원하는 모습이요 그 적합을 이루게끔 행위를 짓
는 상황이라 그래서 動(동)해 움직이니 卯字(묘자)元嗔(원진)을 걺어지고[혐오
스런 動作(동작)行爲(행위)] 높은분 戌字(술자)에게 適合(적합)을 드리오니 未
字(미자)는 自然(자연) 달려 올라와 世主(세주) 位置(위치) 午字(오자)에게 適
合(적합)의 구실을 하게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세주인 나는 내 要求(요구)거리를 얻게 된다할 것이다 이렇게 복잡
하게 해석이 되는 것을 말 몇구 가지곤 하는 말씀이 文上(문상) 有吉(유길) 이
라 하면은 어째 그런지 이해하겠는가 하는 필자의 견해이다 이것은 二位(이
위) 午字(오자)가 亥字(해자)를 업어드리는 말이나 그냥 小過(소과)의 三爻動
(삼효동) 自體(자체)의 作用(작용)原理(원리) 말씀도 된다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