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6,230건, 최근 0 건
   
Re: 5583. 그 다달이괘 流月(유월)은 정하는법은 에서???
날짜 : 2005-09-07 (수) 21:40 조회 : 1032

易(역)이 원래 그,석기시대 동기시대 철기시대 이렇게 변해오듯 그 易(역)이라
하는 논리는 원래 그 東夷之人(동이지인)의 族(족)에서 나왔다는 것이 定說(정
설)인데 목축사회에서 농경사회로 접어드는 시기이거나 그 병행하던 시기에
그 발전이 되지 않았는가 보고 , 그 농경 사회의 일년의 행사를 대략 말하여주
는 것이 아닌가하고 그러한 방식을 그 월별로 표현하다보니 그 流月(유월) 定式
(정식)이 생겨난 것이 아닌가하고, 소이 경작물의 생육성장 발달 과정과 그 결
실과정 그 추수 타작 저장과정, 이런 것을 표현하는 형태의 상징적인 논리가
사물 운세흐름에 부합되었다는 의미 이겠지요
아니면 이것을 필자가 크게 오류를 범하고 있을 수도 있는 문제인데 토정서
월별논리는 이와 별도의 방식으로 정하여진 것을 억측으로 지례 짐 작하여선
그 이와 같은 流月(유월)定式(정식)을 對比(대비)시켜선 해석을 圖謀(도모) 하
였다고 볼수도 있겠습니다 제가 그 책을 발간해 내면서 수년간 많은 고심을 하
였습니다
그리곤 그 각종 토정서의 원본들을 구해다간 그 원리가 맞는가 않맞는 가를 많
은 시간을 할애해 가면서 대조 훌터 보아선 어느 정도 그 합치성이 있어선 그렇
게 견강부회 아전인수가 될진 몰라도 그 해석을 하여 책을 발간케 된 것입니다
설사 그 文庫(문고)에 가면 각종의 토정서에 의탁한 책들이 많고 그 이름도 잘
알수도 없고 지금 생각도 않나는 그런 서적류들이 신간으로 나오고 또 나와 있
는 것도 상당 부지기 수인데 그런데 보면 그 또 그 재는 각도의 방향이 달라선
그 뭣이라 월령도라 하던가 아니 소강절의 원희운세 같은 것을 보면 많은 수를
나열 하고선 그것을 이래 대비시켜 보는데 그 런 원리에 의거해서도 그 다달이
해석을 달아논 것일 수도 있다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 무슨 확실한 근거적인 이
론도 없고 하다면야 그 미신에 근접할 뿐이지 옳은 학설은 아니라할 것이고,물
론 저의 지식이 우매한 것을 남의 탓으로 돌리는 우를 범하는 수도 있다하겠지

이론이 체계적이지 못 하다면야 근본이 어지럽다 할 것인데 그것을 신빙한다는
것이 매우 의구심을 떨칠 길 없다 할 것이 겠지요
무슨 논리적인 학설을 세우거나 내어놓는다는 것이 이래서 쉽지만은 않다할 것
입니다
유월 정식은 그 대정 역상의 유월 정식과 같은 것입니다 괘의 사위는 내괘 와
의 접속되는 부분을 의미 하기도 하지만 純陰(순음)之氣(지기)라 이래서 그 陰
(음)을 상징한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陰月(음월)이 될 적마다 유월[六(육)月
(월)]달 까지 그렇게 정하여지는 것이 아닌가 하여보고 초목이 성장 꽃이피고
열매맺는 것을 점차적으로 표현하는 그러한 방식이 아닌가하고 그 칠월서 부터
는 벼로 볼진데 그 시름 열매가 알차는 과정으로선 그 온 위치의 형태를 짓는
방향으로 전개됨으로 인해서 팔월에 가선 완전 그 母形(모형)의 자식이 된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 다음은 결실기 수확기에 그 추수하는 과정과 저장하는 과정등 이런 것을 표
현하는 모습이 담겨져 있는 것이 그 괘상 변화하는 모습이 아닌가 하여 본 것입
니다 물론 그 고명하신 학자가 계시다면 저도 그 그런 분 한테 문의해 보고 싶
은 심정입니다 그러나 그러한데 아직까지 신경 써서 내어 논 논문이나 학설을
아직 보지 못하였습니다
저의 이런 말씀을 감안하셔서 그 선생께서도 학문탐구에 매진해보시기 바랍니


* 모든 괘상의 流年(유년)卦(괘)에서 변화하는 流月(유월)卦(괘) 원리는 동일합
니다

선생님은 고향이 어디신진 몰라도 만약상 시골이 고향이라면 그 예전에 곡물 타
작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고 그 수확하는 과정이 어떻게 된다는 것을 대략은 짐
작하실수 있을 것이라 사료됩니다 타작을 하게되면 그 여인네들이 곡물 추수한
것을 키짝을 갖고선 알곡과 부유물을 가르기 위해서 그 키질을 하게 되는데 이
래보면 그 곡식들 구르는 모습이 제가 구시월서 부터 설명한 내용과 거의 흡사
한 방법으로 돌아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렇게 적용해 해석해 본 것입니다
물론 다른 방도의 해석 모색도 있겠지요 말하자면 午字(오자)를 立體的(입체적)
透視(투시)를 해볼적에 여러 가지 想像圖(상상도)를 그려 내보일수 있듯이 한가
지 원리라도 그 해석은 각기 다른 논리로서 이뤄질수 있는 것들이 있다 할 것입
니다


   

 


 

Copyright ⓒ www.lifesc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