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6,230건, 최근 0 건
   
주역해석 태위택괘 사효, 오효, 상효
날짜 : 2006-03-30 (목) 18:04 조회 : 7806



九四(구사)는 商兌未寧(상태미령)이니 介疾(개질)이면 有喜(유희)리라[本義(본
의)] 商兌(상태)라 未寧(미령)이나 介疾(개질)이니


구사는 상거래에 있어 즐기는 현상이니 편치 못함이나 크게 눈을 부릅뜨고 질시
하듯 여기면 기쁨 있으리라 본래의 뜻은 상거래의 말하는 즐거움인지라 편안치
못함이나 크게 질시 함이니

* 잔주에 하길 四爻(사효)가 上(상)으로 九五(구오)의 中正(중정)한 爻氣(효기)
에 承接(승접)하고 아래의 六三(육삼)의 부드럽고 邪 (사벽)한 기운의 의지하
였는 지라 능히 잘 결단치 못하고 상거래의 법도와 같아 나서 말하는 바가 능
히 일정하게 정함이 있지 않은 것인지라 그러나 바탕이 크게 陽剛(양강)한지라
능히 크게 대처하여 바름을 고수하여 악함을 미워하고 사벽스러움을 부드럽게
하는 것이라 이같이 하면 기쁨이 있을 것인지라 상에 형상하는 점이 이 같음에
깊이 경계하게 하고자 함인 것인지라

象曰九四之喜(상왈구사지희)는 有慶也(유경야)-라

상에 말 하대 구사의 기쁨은 경사 있음이라

* 전에 하길 이른바 기쁨이라 하는 것은 바름을 지켜서 군자답게 말한다면 그
강냥한 도를 행함을 얻어서 법과 경사가 사물에까지 미친다는 것이다


九五(구오)는 孚于剝(부우박)이면 有 (유여)-리라
구오는 갉아먹힘 당하는데 포로 된 것이면 위태함 있으리라


* 잔주에 하길 박살난 다는 것은 음이 잘 양을 갈아먹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라
九五(구오)가 陽剛(양강)中正(중정) 하나 그러나 응당 말씀하는 시기로 당도하
여서 높은 자리에 거하야 상음효의 근접에 조밀하게 있는지라 上(상)六(육)陰爻
(음효) 부드러운 것이 말씀하야 즐겁게 하는 주효가 되어서 그 말씀을 하야 즐
겁게 만들기 위하여 말씀으로 그 뜻을 벗어 치우는 극 지점에 처하여선 능히 망
령되게 말을 뱉어내는 지라

그래선 양그름을 박살내려 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점이 다만 경계컨데 上六
(상육)을 신용한다면 위태함이 있다 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九五(구오)의 陽剛
(양강)爻(효) 한 입장으로서는 꼭대기 있는 上六爻(상육효)를 신용해서는 안 된
다는 의미이라

象曰孚于剝(상왈부우박)은 位正當也(위정당야)-일서라
상에 말 하대 갈아 먹힘 당하는데 포로 되었다 함은 바르고 마땅한 형세로 그
자리에 있기 때문일 서라

* 잔주에 하길 九五(구오)가 더불어 밟은 것이 같은 동덕이라 니라 요는 양그
른 爻氣(효기)가 정상 양그러운 자리에 있기 때문으로 같은 덕이라 하는 것이
라 같은 덕을 밟았다 하는 것임이 나니라


上六(상육)은 引兌(인태)라

상육은 끌어당겨서 즐기려 하는 것이라 上六(상육)이라 하는 것은 즐거움을 주
관하고 성취하는 효기이다 陰(음)으로서 즐거워하는 극지점에 거하여서 아래의
두 陽氣爻(양기효)를 끌어당겨서 서로 더불어 말씀하는 것을 위하려 드는 것인
지라 능히 필히 그 쫒지 못할것이 될것인지라 그러므로 九五(구오) 응당 경고컨
데 此爻氣(차효기)는 그 길흉을 말하지 않는 것이다 구오는 응당 경계 : 하지
만 此爻氣(차효기)에서는 그 길하다 흉하다 말하지 않는 것이다 왜냐하면 남의
것을 이끌어 와 가지고 자기한테 유리하게 만들어서 써먹거나 즐기려 하기 때문
이리라.

象曰上六引兌(상왈상육인태)는 未光也(미광야)라
상에 말 하대 상육이 끌어 당기여서 즐기려 드는 것은 별로 그 빛난다 할 것이
못되는 것이 나니라.

* 傳(전)에 하길 말씀을 갖고선 심중에 있는 뜻을 표현해서 벗겨 재키는 것이
다. 이러한 말씀으로 즐기려 하는 것이 이미 극 지점에 이르렀음이다. 또한 당
기여서 길게 하고자 하는 것이니 비록 말하고 하여가고 하는 마음이 사리에도
맞지 않고 진실함에도 지나쳐서 일이 왕성하게 하는 바가 없는 말씀인지라 일
이 왕성하게 된다면야 光輝(광휘) 함이 있을 진데 이미 말을 벗기는 자체가 극
지점에 다다라서 끌어들이기만을 강력하게 하여 의미심장함이 없는 지라 어찌
빛남이 있을 것인가. 필히 반듯하지 못한 미비하여 그릇된 것이 상중에 많이
써있는 것을 보이는 것이니 필히 능히 光輝(광휘) 함이 있지 않는 것이라. 불능
함을 이르는 것이다.


* 자세한 해석은 앞서 다른 괘에서 겸해 하였다 할 것이라 그런 것을 보면 이
해 할 수 있다


* 飛神(비신)해설만 덧 붙쳐 보기로 한다



* 624 節之澤卦(절지택괘)
飛神(비신)
子 未 世
戌 酉
申 亥 動





商兌未寧(상태미영) 介疾(개질) 有喜(유희) 장사 거래로 즐기려 하는데 편안하
지 못한 모습이다 크게 병적으로 여기면 깃거움 있으리라


세주 銳銳氣(예예기) 미끼 亥(해)를 놔선 그 도충 충발자가 미끼에 걸려선 파먹
고 오르라는 모습인데 그래되면 그 충파자를 근기를 대고 파먹는 巳字(사자)가
세주근기 양분을 대어줄 넘이란 것이다 그래서 그래선 丑(축)터러 파먹고 오르
라고 銳銳氣(예예기) 亥(해)를 힘을 실어 발동해 본 것인데

도리혀 나의 근기를 잡는 子性(자성) 원진이 세주곁에 와선 붙게 된다는 것이
다 그래선 세주 사촌과 힘을 합세해선 요리해 갖고는 銳銳氣(예예기) 동작하는
亥(해)에 갖다가선 積載(적재)하라는 것이다 그러니 얼마나 고달프겠는가 이런
견해이다 아래 巳(사)의 養分(양분)을 얻겠다고 숱한 시련을 堪耐(감내)하는
모습인 것이다



變卦(변괘) 兌爲澤卦(태위택괘) 四爻動(사효동)으로 보면 卦爻辭(괘효사)에 하
길 兌(태)는 깃겁고 즐겁다는 뜻이다 깃거운 것은 형통하는 것이니 바르고 굳
건해야만 마땅하니라 하였다 괘생긴 형태가 上下卦(상하괘) 모두가 兌卦(태괘)
로서 깃거움이 거듭 걸린상태 , 물이 미풍에 넘실대어 즐거움의 상징을 의미하
는 못이 거듭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한다

易書(역서)에서는 商去來(상거래)에 있어서 서로가 得利(득이)를 얻음에 그 들
뜬 즐거움을 갖고 爻辭(효사) 解釋(해석)을 하고 있다 특히나 四位(사위)의 爻
辭(효사)에는 아주 노골적으로 商去來(상거래)를 들먹이고 있는 형세라 할 것이
다 그 爻辭(효사)들을 볼 것 같으면 모두가 자기위치가 적당한 것을 갖고선 깃
거워 하는 상태란 것이다 그래서 澤(택)卦(괘)는 형통하게 되어 있고 그럴수
록 바른 도리 毅然(의연)함을 固守(고수) 해 야지만 참다운 實益(실익)이 있다
고 가르쳐주고 있는 것이요

그래서 그 괘이름을 兌(태) 또는 澤(택)이라 命名(명명)한 것이라 할 것이
다 初九(초구)는 그 위치가 中道(중도)는 아니지만 자기 위치 있음으로 자기
위치에 있는 것을 갖고선 그 즐거움을 내세우는 상징을 삼고,

九二(구이)는 자기위치는 아니지만 中道(중도)를 얻고 원래 거기가 陰位(음
위)의 위치이므로 그자체적으로 陰陽(음양) 죽이 맞는 것으로 하여 그 스스로
적당한 것을 찾은 것으로 하여 慰安(위안)을 삼는지라 이래 자신의 처지 그러함
을 깃거움의 상징을 삼고, 六三(육삼)은 거기가 原來(원래) 陽位(양위)의 자리
인데 陰爻(음효)로 있는지라 이래 그자체적으로 陰陽(음양)죽이맞는 것을 위안
을 삼아 얻을 것을 얻은 것으로 하여 그 깃거움의 상징을 삼고,

九四(구사)역시 陰位(음위) 자리에 陽氣(양기)로 있는지라 이래 그 자체적으로
음양죽을 맞는 것을 갖고 깃거움의 상징을 삼으면서 또 頂上(정상)主君(주군)
에 근접해 있는 것을 갖고 희망을 품게 한다해서 그 깃거움의 度(도)를 더해 감
으로 인하여 그 뜻하는 의미를 더하고, 九五(구오)는 정상위에 있는 것으로
깃거움의 상징을 삼고, 上六(상육)은 자기위치에 있는 것으로 깃거움 의 상징
을 삼아 이래 모두 耳縣鈴(이현령) 鼻縣鈴(비현령)으로 깃거움을 삼는지라 모두
들 자기위치가 현재 현실적으로 적당하다하고 만족하는 데에서 깃거움을 찾는
다할 것이다

모두 자기 주제를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자신의 위치에서 離
脫(이탈) 放溢(방일)하는 그런 작용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리라 그러나 그래
도 각기 뜻하는 爻辭(효사)의 의미는 다른지라 吉(길) 悔亡(회망) 凶(흉) 有喜
(유희) 有 (유여) 引兌(인태) 等(등)의 말씀을 메기게 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彖辭(단사)에 이르기를 兌(태)는 깃거움을 말하는 것이니 强(강)한 九二(구이)
와 九五(구오)가 가운데하고 부드러운 爻氣(효기) 六三(육삼)과 上六(상육)이
各(각)卦(괘)의 밖같에 하여 깃거워 하대 바르고 굳건함이 有益(유익)한지라 [*
깃거워 함으로써 바르고 굳건하여져 마땅해지는지라.]

이래서 하늘의 도리법칙에 순종하고 인간의 도리와 경우에 호응하여 깃거운
것으로서 백성에게 먼저하면 백성이 그 勞苦(노고)하여도 그 고달픔을 잊고, 깃
거운 도리로서 어려운 일을 犯接(범접)하라 하면 백성들은 그죽음 까지도 잊고
선 행하려 드나니라. 이래서 깃거움의 방법을 삼는 것은 자못 크다 할 것이니
백성을 힘써 일하게 하는 방법이라 하리라 하였고,

상사에서는 거듭걸린 못이 기것움의 상징이니 군자는 이를 보고 실생활에 적용
하대 벗들을 초청해놓고 배운바를 반복해서 읽고 익혀서 또 서로 대화를 나누
는 가운데 그 뜻을 밝게 해석하여 얻으려 하며 확연히 깨우칠 때 까지 열심
히 노력하나니라 하였다 [* 또는 朋友講習(붕우강습)을 간단히 해석해서 講論
(강론){풀이}하고 익히는 일을 벗한다고 해도 되리라 ]


이러한 時期(시기)나 象(상)을 當到(당도)하여 九四(구사)의 움직임은 商術(상
술)로서 깃거움의 득실을 헤아려본다 좀 부족해서 편치 못한 것 같다 [마치 필
자의 어저께 저녁때 마음을 야기하는 것 같다 ] 이런 것[이렇게 속상하게
하는 것을]을 크게 嫉視(질시)하면 기쁨 있으리라 하였다 자신의 좁은 소견을
질책 한다는 뜻만이 아니라 그 속상하게 하는 발단 원인을 미워한다는 것이니
소이 왜 내맘에 흡족하게끔 商去來(상거래) 利潤(이윤)이 없는가 要(요)는 무
엇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그러한 原因(원인)을 미워하라는 것이다


* 介(개)의 의미는 사이에 끼인 상태 단단하게 박힌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搖之
不動(요지부동) 하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봐야 할 것인데 왜 크다고 해석 하는
가 하면 그렇게 단단하게 박힌 것에 대하여서는 그 여건이 생각보다 물리적인
압박에 힘을 가중하게 가하여 야지만 그를 빼어낼수 있음으로 큰 압력 큰 힘이
들게 마련이라 이래서 그 작아 보이는 것이라도 큰 힘을 쓸 것을 안고 있는 것
이라 하여서 크다는 의미로 풀어보는 것이다

易書解釋(역서해석)에서는 志操(지조)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는데 단단하게 박
힌 것은 변동이 없음으로 지조 있는 것으로 해석해도 그 바른 解釋(해석)中(중)
의하나가 된다하리라
그러면 왜 商去來(상거래)의 得失(득실) 利害打算(이해타산)이 부족하여 편치
못한가 함을 해석해 본다면 물론 그자체적으로는 나무랄데 없는 깃거운 자리이
나 그 대상 호응 먹혀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곤 頂上位(정상위)의 바로 아래 근접해있는 것은 일편 희망을 갖게 함으
로 깃거운 면도 좀 있겠지만 그 근접에서 둘러리를 서야만 하는 입장이니 그
한마디로 정상 시건방 떠는게 꼴사납고 해서 猜忌(시기)하는 마음이 절로 일어
난다는 것이라 그래선 편치 못한 상을 짓게된다는 것이다 또한 그래서 그러한
원인을 미워하게 된다는 것이요 그러다 보면 깃거움이 오게되어 있는 것이 어
디 돌아갈곳 마땅찮은 近接(근접)의 六三(육삼) 陰氣(음기)가 九二(구이) 顯者
(현자)와 죽을 맞추다가 싫증이 나면 自己(자기)에게도 오는 수가 있을 것이란
것이다

그렇게되면 깃거움 있는 것이 마치 解卦(해괘)의 小人(소인)의 짐이되어 있는
것과 같은 현상이 일어선 上六(상육)이 九五(구오) 좋은 연장을 갖고 있지만 近
接爻(근접효) 의 맛과 멀리 안쪽에 있는 달리 괘상을 짓고 있는 九二(구이)의
맛이 또 다를 것이라 여김으로 九二(구이) 顯者(현자)를 뺏치기 하면 六三(육
삼)은 음식에 뭍은 티겁지라 하여 떨어 낼것이라 이래되면 자신은 거저 돌아 갈
곳 없는 六三(육삼)을 줏는 것이 되는지라 이래 경사가 절로 찾아든다는 것이리



易書解釋(역서해석)에서는 자신의 부당한 위치에 있는 것을 상거래에 있어서 밝
지 못한 상태 그러니까 損失(손실)이 있는 것으로 본다는 것이다 그래서 편치
못하다는 것이다 또한 그래서 그 대상 정당한 자리에 있는 初九(초구)의 陽
(양)그러운 밝은 기운을 쏘이면 그 손실을 만회하는 것으로 된다는 것이다 그
러니까 어두었던 상거래가 다시 陽(양) 그롭게 된다는 것이리라


* 어느 해인가 아마 庚子年(경자년) 개락 이었는가 보다 갑작스런 큰비에 사태
가 떨어져 고만 전지를 다 쓸어 엎었다 길도 끊겼다 그래선 軍部隊(군부대)에
서 支援(지원)을 와서 새로 길을 임시로 뚫고 망가진 田地(전지)들을 復舊(복
구)해 주게되었는데 그래서 그 전지 임자가 얼마간의 댓가를 지불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자기 田地(전지)도 좀 도저를 갖고 복구해 달라하였다 그래서 그 도
저가 와서 전지를 새로 만드는 중에 그만 그 육중한 덩치가 수렁에 빠져 못나오
게 되었다

[*여기까진 九四(구사)의 입장이다 所以(소이) 自己(자기) 處身(처신)으로 不當
(부당)한 자리이지만 얼마던지 충분히 해낼수 있을 것 같았는데 실제 일을 하다
보니 고만 어려움에 봉착하고 말았다는 것이다 그러니 편치 않을 수밖
에..... 그래서 나는 더일을 못함네 하고 단단하게 박힌 듯이 지조를 지키어서
있으면서 그 수렁된 것을 미워하는 형편이 된 것이다

그러고 있었더니만 어디서 왔는지 그 對相(대상)이라 하여 똑같은 도저가 와서
건져내는 것을 보았다 이게 바로 初九(초구)다 그러니까 九四(구사)가 지금 이
러한 처지에 놓여있고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경사 있어서 기쁨 있다는 의미이리
라 그렇다면 이것 商去來(상거래)에 있어서 한번쯤은 먼저 골탕을 먹는다는 뜻
인데 거 좋다고만 할수 없을 것 같다 생일 잘차려 달게 먹겠다고 일부러 시장
기 느끼라고 밥 잡숫지 말고 곤혹한 맛을 보라는 이야기가 아닌가 말이다


飛神象(비신상) 으로 보면 下(하)로부터 上(상)으로 飛神(비신)이 서길 巳卯丑
(사묘축) 亥酉未(해유미) 이다 未字(미자) 文性(문성)이 太歲(태세) 上位(상
위)에서 世(세)를 잡고 있는데 丑字(축자) 文性(문성)이 應對(응대)하고 있어
世應(세응) 比化(비화)間(간) 이지만 沖破(충파) 三刑間(삼형간) 이다 六 卦
(육충괘) 이다 四位(사위)亥字(해자) 福性(복성) 動(동)으로 因(인)하여 六 
(육충)이 六合(육합)으로 접히는 상태이니 그 운세 크게 퍼들어진다는 의미는
아니다

世主(세주)는 子字(자자) 元嗔(원진)을 접속하게되고 五位(오위)兄性(형성)
酉字(유자)는 戌字(술자)文性(문성)의 回頭生(회두생)이 되고 四位(사위)亥字
(해자) 福性(복성)은 申字(신자)兄性(형성)이 回頭生(회두생)한다 商去來(상거
래) 利害打算(이해타산)으로 인하여 그 깃거움을 저울질 하는 형세에 있어서 내
쪽이 편치못한 모습이라

그래서 그러한 원인을 크게 미워하면 기쁨 있으리라 를 飛神作用(비신작용) 原
理(원리)로 類推(유추)解釋(해석) 해보면 이렇다 動主(동주)는 自身(자신)이
일하는 行爲(행위)이고 또 일하여 놓는 業績(업적)을 말하는 것인데 이렇게 동
주가 일하여 회두생 받아 두터운 업적이 쌓일려면 世主(세주)는 그 혐오스러운
元嗔(원진)의 負擔(부담)을 안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래야만 나중에 좋은 경사 있다는 의미가 되는데 그 원리는 이렇다
지난 한해 이야기를 유추해온다면 未(미)氏(씨)가 그 同類(동류) 三合(삼합)
과 어울리더니만 그 比肩(비견) 沖破(충파)  動質(충동질) 者(자)[丑(축)]가
對相(대상)에 있으면서 충동질하길 덕산 어드메 가면 일거리가 심심찮게 있는
데 이래 가만히 노는 것보단 일하러 가지 않겠는가 하였다

그래서 거-마침 무료하고 한데 잘됬다 싶어 따라 나서게 되었는데 그 일거리가
무엇인가 물었 더니만 지전작업 [산에 나무 심을려면 잡목들을 제거하고 정리
해야지만 나무를 심게되는데 그런일을 갖다가선 지전작업 이라 한다.] 이고 나
무 심는 것이란다 그래서 큰 힘 안들이고 일할수 있다기에 나같은 약골도 할 것
이라 하고 갔었는데 막상 일할 현장에 당도하고 보니 지전작업은 이미 끝나고
대신 산판 나무내리는 힘드는 작업만 남았다한다 그러니 그것이라도 하려면은
하라고 책임자가 그러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이 말들을 하길 이왕 온김에 그러면 그것이라도 해야지 하는 것이
었다 그래서 필자도 할수없이 한칼이 들어서 일을 하게 되었는데 이사람들은
이미 그런일이 있을줄 알고 단단히 준비를 해왔는데 나는 도시 그런일을 해보
지 않았는 지라 준비가 있을리 만무하다 알고보니 이사람들이 사람숫자가 적
어 모자라는 지라 사람 머리 수자 채우려고 내게 어려운 일이 있다고 귀띔해 주
지 않은것 같다

그래 어려운 일이 있다면 내가 갈리 만무인 것이다 그래서 나무 차에다 싣는
일을 하게 되었는데 이것을 어께에다가 한 등걸씩 걺어 나르려니 얼마나 땀이
나던지 등에 소금기가 덕지를 앉을판인 것이다 한나절을 하고 보니 아주 생똥
을 쌀판인 것이었다 그런데 다른 사람들은 이력이 나고 힘도 좋아서 잘도 하는
데 어떤 생벌 되는 자는 미리 그럴줄 알고 아주 어께속에 얹어놓는 베게 까지
준비해 갖고 왔었다 그러니 어깨가 힘이 덜들고 덜 앞플 수밖에.... 이것도 모
르고 나는 그대로 당하는 꼴이 되었으니 아주 죽을 지경이었다

그런데 그 나이많은 사람들과 힘께나 쓰는 또레벌 되는 자 를 보니 얼마나 이
런일을 하였던지 아주 어깨 등머리에 꾸덕살이 사발대접 처럼 생겨 고개는 쳐지
고 꾸부정하게 보였다 그래서 이제는 그렇게 힘드는 줄모른다 한다 그러면서
未(미)氏(씨)에 해당하는 자가 말을하길 [未(미)氏(씨)에 해당하는 자가 한둘
이 아니란 것을 알아야한다= 未(미)씨 戌(술)씨 丑(축)씨라 해도 상관이 없
다 ]

그 뭐- 조금힘드는 것을 갖고 뭘 그래 죽는 쉬늉이냐 하는 듯이 얘기를 하
길 "야-이거 큰나무 목도를 해봐라 아주 죽어난다 이것이지 우리 어깨 혹이 모
두 목도 하는 바람에 생겼다" 한다 목도를 하게되면 두사람이나 네사람등 나무
크기에 따라서 더 많은 사람들이 하게 되는데 석까래 같은나무에다 줄을 꿰워
서 한아름이 넘는 나무등을 운반하게 되는데

이 석가래 같은 나무를 목도채라 한다 이 목도채를 두사람이 한쪽씩 어깨에 걺
머 메게 되는데 여기서 목도채 길이 넉넉하게 앗는자가 그만큼 힘이 않들고 유
리하게 그짐을 운반하는 편에 서게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가운데 꿴줄이 꿴 나
무 비례하여 상대방에게 더 가까히 가게 한다는 것이다

지금 此卦爻(차괘효)의 비신작용이 그렇다는 것이다 子字(자자)란 나무를 운반
하기 위해 亥字(해자)란 場所(장소)에서 亥字(해자)로 움직였는데 이렇게 움직
이다 보니 세주와 세주 품아시군 戌字(술자)와 목도를 하게 되었더란 것이다 그
런데 세주가 子字(자자)란 한아름 나무와 元嗔間(원진간) 이라 썩죽을 입장의
모습이 술자 품아시군과의 목도채 더 뺏기에 져서 힘을 더쓰는 아주 골탕먹는
입장에 섰다는 것이리라 이렇게 죽을 힘을 다하여 亥字(해자)란 장소까지 운
반 그 亥字(해자)로 탈바굼시켜 놓는 모습인 것이다

그러니 세주가 오죽이나 힘이 들고 고통스럽겠는가 이다 所以(소이) 商兌未寧
(상태미령) 介疾(개질)이라 商去來(상거래) 得失(득실)에 있어 편치못한 입장
을 당하였으니 굳굳하게 지조있게 지키면서 일을 해본다 그리고 그러한 힘드는
일을 嫉視(질시)해본다 팔자타령이 절로 나온다 하리라 그런데 요것이 다음 有
喜(유희)란 말이 참 제미있게 되어 있는 것이 그렇게 운반해온 나무 亥字(해자)
로 遁甲(둔갑)시켜 積載(적재)해논 것을 먹어 잡술자가 있다는 것이다


바로 三位(삼위) 近接(근접) 丑字(축자) 木材商(목재상)이라는 것이다 木材商
(목재상) 丑(축)이 亥字(해자)가 자신을 이끌어줄 驛馬(역마)요 또 먹이 이라
지금 먹음직스럽게 먹이감이 당도해 있는데 어찌 가만히만 보고 있겠는가 이
다 그런데 丑字(축자) 뒤에서 卯字(묘자)가 또 丑字(축자)를 먹으려한다 이래
되면 木材商(목재상)이 나무를 살려는 것을 방훼하는 자가된다 하기도하고 목재
상의 일을 성취시켜 주는 官鬼(관귀) 官祿(관록)이라 보기도 할 것이고


아뭍든 목재상이 목재를 먹고 커지면 그것을 노리고 그 먹이화 할려는 者(자)인
데 此(차) 作者(작자)가 바로 世主(세주)未字(미자)의 根基(근기)에 根基(근기)
가 되었는 者(자)로서 世主(세주)를 將次(장차) 돌아갈 墓庫(묘고)로 여기는 자
라 언젠가는 世主(세주) 未字(미자)에게 돌아올 자란 것이다 목재상이 木材(목
재)亥(해)를 먹는다 對相(대상)未字(미자)가 沖破(충파)를 놓을려 한다 그러나
未字(미자) 元嗔(원진)이 접속되는 바람에 썩죽어서 沖破(충파)를 놓치 못하
니 丑(축)이 亥字(해자)를 잘도 잡숫는다

卯字(묘자)가 丑字(축자)를 먹을려 하니 對相(대상) 酉字(유자)[*나무 적재시키
려 쌓아놓는데 동원되어 작업하는 사람들과 그러한 형세의 운작용]가 沖破(충
파)를 놓아 그래 못하게 하니[ 소이 "네까짓게 뭔데 우리가 나무 잘 싸논 것을
못팔아먹게 훼방놓냐 한대 맞아볼래-" 한다는 것이다 원래 그런데 일하는 사람
들은 거칠은 법이다 丑字(축자) 木材商(목재상)을 부리는 위치에 있는 점잖
은 체면의 감독관 치고 봉변을 당할 판이라 가만히 있을수 밖에 없다는 것이
다 ]

丑字(축자)는 무난히 亥字(해자)를 먹는다 肥大(비대)한 亥字(해자)를 먹는 것
은 亥字(해자)를 없애는 것은 아니라 그 利(이)로운점 得利(득이)가 生(생)하
게 하는 것이니 亥字(해자)를 꼭 누르는 모습이면 거기선 生(생)하는 것이 바
로 그의 適合(적합) 寅字(인자) 木氣(목기)일 것이다 此(차) 木氣(목기)는 午
字(오자) 火氣(화기)의 根基(근기)가 된다 午字(오자)는 世主(세주)未字(미자)
의 適合(적합)이 되는 것이오 生助者(생조자)이다

그러니까 初位(초위) 巳字(사자)는 세주 적합의 四寸(사촌)으로서 세주를 도우
는 것이 卯字(묘자)가 丑字(축자) 억제치 못하게끔 그 기운을 앗는데 一助(일
조)를 한다고 보면 될 것이다 이렇게 해서 世主(세주) 未字(미자)가 適合(적
합) 午字(오자)를 얻게되니 이는 그 일한 댓가이리라 그래서 有喜(유희) 즉
그 즐거움을 두게된다는 것이다

소이 힘들게 일하고 그 보람을 찾는다 할 것이다 한편으론 목재상 丑字(축
자)도 그 해자를 억제하여 꼭-누르는 통에 다시 脫甲(탈갑)이된 것 즉 자신의
짝 적합 子字(자자)도 다시 얻어 合土(합토) 되어 세주를 도우는 입장 부담을
같이 나누어 지거나 그 힘부침을 바르게 밀어주어 덕되게 하는 입장도 된다 할
것이다


* 四位(사위)동작은 水局帝旺(수국제왕)을 세주 더러 먹으라 해서 木局長生(목
국장생)을 旺(왕)하게 만들겠다는 것이니 그 왕한 장생 기운이 결국은 어데로
갈 것인가 세주인 墓庫(묘고)로 들어오게 될것이란 것이리라 六 金木局(육충
금목국)인데 金局(금국) 驛馬(역마) 亥字(해자)동작은 戌未(술미)를 口化(구
화)하여 子(자)를 먹은 戌未(술미)를 근기로둔 申酉(신유)가 그 亥字(해자)를
봉죽하는 根氣(근기)로 되어 있는 모습인데

이래 亥字(해자) 旺(왕)해졌다는 것이다 이렇게 될렴 세주 未字(미자)란자가
子性(자성)의 원진 먹이를 껄끄럽게 물게된다는 것이라 이래 商兌未寧(상태미
령)이라 상거래에서 그 편치못한 모양을 띄어 크게 그 상거래를 미워하게 되는
데 그 미워 할것만 아니란 것이니 그래 거래하다 보면 맨아래 세주 봉죽자 이
기도 하고 역마 이기도 한 巳字(사자)가 그 根氣卯字(근기묘자)를 丑字(축자)에
다 대고 파먹고 있는데

그 축자가 파먹는 亥字(해자) 먹이 소이 축자의 역마가 旺氣(왕기)를 띄어선
끌어 올리기 쉬워 진다는 것이다 이래됨 세주 봉죽자가 역량이 肥大(비대)해져
선 빨리 올라와 세주를 잘 봉죽해 줄 것이라 이래 길해 진다는 것인데 그 일이
매우 어지러워 몇단계를 걸치는 것 같음이라 앞서 해석의 도저 수렁에 빠져 허
덕이는 것을 구제하는 것 같다는 것이리라

* 初位(초위)에서 巳字(사자)가 寅字(인자)의 回頭生(회두생)을 입는 구조는 우
선 巳字(사자)가 動(동)하였으니 세주뿌리라 좋다 할 것이나 그 對相(대상) 亥
字(해자)  破者(충파자)를 만났는지라 適合(적합)이 그  破者(충파자)에게 설
기 當(당)하고 있는 입장이라 이래 愁心(수심)과 煩悶(번민)이요 一身(일신)이
困(곤)하고 疾病(질병)이 있다 하였다 그런데 만역상 그 亥字(해자)를 접합시
켜 잠재운는 寅字(인자)와 그四寸(사촌) 卯字(묘자) 木氣(목기)를 만난다면
도움을 받게될 것이란 것이요 재물이 생긴다 하였다

二位(이위)에서 卯字(묘자) 寅字(인자)로 退却(퇴각)하는 구조는 세주 剋制者
(극제자) 卯字(묘자)가 움직였으니 덕될게 없다는 것이다 財爻(재효)旺(왕) 하
다는 것은 錯簡(착간)인가 하고 기쁨이 흩어지고 근심이 생긴다 하였다 있던
陽爻(양효)가 脫落(탈락)되는 모습이라는 것이다


三位(삼위)에서 丑字(축자)가 辰字(진자)로 進身(진신)되는 構造(구조)는 같은
子寅辰(자인진)의 飛神(비신)이 서더라도 이제는 있던 陰爻(음효)가 탈락되고
陽(양)그러움의 상징인 陽爻(양효)가 들어차서 內卦(내괘) 乾(건)一色(일색)이
되는지라 길 한말을 하게되는 것이다 소이 세주 충동질자가 動(동)하여서 進身
(진신) 된다는 것은 세주에게 有利(유리)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니 身旺(신왕)財
旺(재왕)하여 재수대통에다 몸도 태평할 수라 하였다


子寅辰(자인진)이 들어서서 三位(삼위)가 動(동)하면 亥丑卯(해축묘)가 되는 構
造(구조)는 이것이 원진을 만난 것이라 좋지 않은 말을하다 所以(소이) 辰亥元
嗔(진해원진)間(간)은 世主(세주) 未字(미자)에게 不利(불리)하다는 것이요 月
令(월령) 巳字(사자)를  動質(충동질)하게되면 巳字(사자)는 本宮(본궁)에 官
性(관성)이 되는지라 官鬼(관귀)가 發動(발동)한다는 것이요 역시 亥中甲木(해
중갑목)이  動質(충동질)로 튀어 나오선 世主(세주)에게 官鬼(관귀)役割(역할)
을 하는 것도 不利(불리)하다는 것이다


申字(신자)가 動主(동주)로서 亥字(해자) 財性(재성=世主(세주)에 대한 財性
(재성) 本宮(본궁)福性(복성))을 生(생)하고 그런데 또 辰字(진자)가 亥字(해
자)를 抑制(억제)하는 것은 그 亥字(해자)가 寅卯(인묘)木氣(목기)를 生(생)하
게 하는 것이라 이래 寅卯(인묘)木氣(목기)가 세주를 生(생)하는 巳午(사오)火
氣(화기)의 根基(근기)로서 세주의 官祿(관록)이 된다는 것이다


二位(이위)에서 寅字(인자)가 卯字(묘자)로 進就(진취)되는 구조 역시 아주 凶
(흉)하다 하였다 사방이 모두 흉하다 하고 특히 물가에 가지를 말라하였다 要
(요)는 屯卦(둔괘)之象(지상)은 凶(흉)하다는 것이리라

世主(세주) 剋制者(극제자)가 進就(진취)하니 그 세주대상으로 서있던 辰字(진
자)가 丑(축)으로 退却(퇴각)하면서 世主(세주)를 沖破(충파)를 놓는다는 것이
라 그렇게되면 初位(초위)에서 세주생조 巳字(사자)가 子字(자자)의 剋制(극제)
를 또 당하게 된다는 것이리라 世主位(세주위)가 卯巳(묘사)로 나아간다 결국
巳字(사자)가 된다는 것은 生處(생처)이라 할 것이지만 世主(세주)가 剋制(극
제)를 받아서 生(생)한 生處(생처)라 좋다 하지만은 못하는 것 같다


* 425 歸妹之澤卦(귀매지택괘)
飛神(비신)
戌 未 世
申 酉 動
午 亥





孚于剝(부우박) 有 (유여)


* 박살내려는 빚쟁이의 포로가 될려는 것은 위태하리라 돈꿔 갖고 가선 즐탕
퍼마시곤 '내배째' 한다면 그보다 더원수 골탕은 없으리라 上位動(상위동)과
거의 같은 경향이 나오는데 상위동은 원래 도둑넘 사기군 채무자로 몰리는 것이
고 오위동은 비신이 같이서는 것을 본다면 중간 빚보인선 자이라 연대 책임을
져야할 판이라 그 같은 경향이 나온다 하리라 소이 돈한푼 제대로 써보지도 못
하고 쪼들리기 마찬 가지라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상위 동보다 더못하다 할 것
이다 비신 해석 풀이는 택괘 상효동을 참고하면 된다


* 五位動(오위동)은 世主(세주)未(미)를 戌(술)로 진취시켜선 좋을 것 같아도
좋은 것은 임시뿐이요, 歸妹之象(귀매지상)에 그 그래 내리는 기운을 위 근기
로 당겨선 추슬린 다는 것은 그 임차해온 돈 등을 갚아야할 것이므로 戌(술)이
銳氣申(예기신) 이라는 기운을 내려서는 午(오)라는 수레를 끌어올리는 책무 소
임 막중한 것을 맡아야만 한다는 것인데 그 수레 午(오)를 끌어올려선 자신의
근기를 삼는 것이 아니라 이미 먼저 즐기느라고 임차한 돈을 변제하여 줄 그런
수레라는 것이다,

그 수레에 예기 丑字(축자) 원진 뻗은 것을 본다면 그렇다는 것이다 소이 수레
를 끌어올리는 힘만 고통스럽게 감내해야지, 소이 말을 바꾸어선 돈을 버느라
고 힘을 열심히 들이지만 그 돈은 다른이 소위 세주 삼형자 丑(축)이 갖고 가는
데 그 丑(축) 역시 아래 파먹는 卯巳(묘사)를 두었다는 것이라 그러니까 꿔온
것 갚느라고 모두 골몰한 상태를 그린다 할 것이다 , 귀매, 소이 누이가 시집왔
다가 돌아간다, 소이 말을 바꾸어 돈등 재물 즐길 것 빌려왔다가 돌아간다 이
래 해석이 된다 할 것이다


變卦(변괘) 兌爲澤卦(태위택괘) 五爻動(오효동)으로 볼 것 같으면 卦爻辭(괘효
사)에 이르기를 兌(태)란 原來(원래) 口辯(구변)으로 이뤄지는 業(업)을 뜻하
는 것이라

그래서 말을 하게되면 利權(이권)을 얻거나 그 마음을 흡족하게 刺戟(자극)하
는 방향으로 가길 願(원)함이라 이래서 그 깃거움이라 하고 즐거움이라 함인 것
이니 그 글자의 형태를 볼 것 같으면 八字(팔자)로 벌어진 입에 또 벌어져 흘
러나오는 것이 흡사 擴聲器(확성기)에서 노래 가락이 흘러나오는 모습을 취한다
할 것이요 또는 혀를 이리저리 굴려 날름거리며 말하는 象(상)이라 畢竟(필경)
은 그 정신관념을 충족시키기 위한 行動中(행동중) 言辯(언변)이나 音樂行爲中
(음악행위중)의 하나라 할 것이다

그 괘상을 볼 것 같으면 못을 뜻하는 小女卦(소녀괘)로서 못의 물이 솔솔부는
바람에 넘실대며 그 즐거워 하는 상태를 그려주고 있는데 瓦卦(와괘)가 家人卦
(가인괘)라 內容事(내용사)가 한집안의 화목을 圖謀(도모)하는 것과 같음이라
그런 가운데 즐거움은 이뤄지는 것이라 할것이니 두내외가 봄색이 만연하니 비
파소리 맑은 선률이 흘러 악기 위에서 너울거리고 춤추는 화색이 만연한 봄나비
같다 하였다

이러한 卦象(괘상)인데 그 입을 열어 말을 하게되면 혀를 잘 놀려야 지만 남에
게 듣기 거북한 音(음)이나 말을 하지 않게 됨이라 잘못 혀를 놀리다간 남의 입
살에 오르는 구설을 맞게되고 평판이 좋지 않음으로 인해서 급기야는 시비가 일
어 官厄(관액)事(사)까지 가게된다 하였다 이러한 의미가 있는 兌(태)는 형
통하니 바르고 굳건한 행위를 지음이 마땅하니라 하였다


彖辭(단사)에 이르기를 兌(태)는 즐거워 하는 것이라 强(강)한 氣象(기상)이
가운데 [九五(구오) 九二(구이)가 中間(중간)에 處(처)한 것을 말한다할 것이
다 ] 하고 부드러운 게 밖에 [ 六三(육삼) 上六(상육)의 位置(위치)가 小成卦
(소성괘)로 놓고 볼적엔 밖에 위치한 모습이다 ]해서 즐기는 모양이니 그 즐거
운 때일수록 곧은 모습을 지어야 지만 利(이)로울 것이라

이래서 九五(구오)가 君主位(군주위)로서 하늘위치 上六(상육)에 順從(순종)하
고 九二(구이)가 臣下(신하) 百姓(백성)의 位置(위치)로서 六三(육삼) 사람의
道理(도리)에 順應(순응)하니 이리되게되면 上下(상하)모두가 죽맞는 마땅한
바를 쫓아 順應(순응)하게됨이라 자연 깃거운 상태에 들 것이라

깃겁게 함을 갖고 백성에게 먼저하면 백성은 그 고달픔을 잊고 즐거운 마음으
로서 그 어려운일 을 범접하게되고 백성은 그 죽음까지도 잊나니 깃겁게하는 도
리로 백성을 힘쓰게 권함일진져 하였다 그러니까 지배자가 피지배를 부려 쳐
먹기 위한 얄팍한 책략 수단이 된다는 것이다 백성이나 모든 대상은 대의명분
에 몰리면 그 불구덩속 이라도 들어갈 형편이 된다 할 것이고 백성은 어쩔
수없이 현혹에 잡힌 포로의 신세가 되어 미력의 힘이나마 보탠다는 명분하에
그 죽음속에 까지 뛰어들게 된다는 것이니

所以(소이) 宣戰(선전)과 煽動(선동)이 모두 言辯(언변) 口辯(구변)속에 있어
백성의 마음을 操縱(조종)해선 부려쳐먹게 되는 것이라할 것이다 言辯(언변)
이 사탕발림이라 아랫사람을 死地(사지)로 내모는 捷徑(첩경)이다 말을 잘하
게 됨으로써 利權(이권)을 爭取(쟁취)하게되니 이것이 商人(상인)의 商術(상술)
과 같다한다 그래선 그 爻辭(효사)를 볼 것 같으면 商去來(상거래) 內容(내용)
이 들어 있다 하리라

象辭(상사)에 이르기는 거듭된 못이 澤(택)卦(괘)의 象(상)이니 군자는 이를
관찰하고 실생활에 적용하대 사람들을 모아놓고 사상을 주입하려 쇠뇌공작 하나
니라 그래선 달콤한 말로 꾀이어선 利權(이권)을 喝取(갈취)할려 드나니라 모
든 이는 이런 것을 조심하라는 것이다 그 가르침을 받아서 각자에게 利德(이덕)
이 된다면 반드시 나쁜 방면으로 흐르는 원리는 아니라 할 것이다


이러한 時期(시기)나 象(상)을 當到(당도)하여 九五(구오)의 動(동)함은 그
갉아먹으려는 이에게 붙잡힌다면 위태스러움이 있으리라 하였다 아주 작정을
하고 잡아먹겠다고 덤비는 것을 알아채지 못하고 거기 사탕발림에 넘어간다면
어찌 위태하다 하지 않을 것인가 이다 飛神(비신)作用(작용)을 볼 것 같으면
六 (육충)을 發(발)하여 화들짝핀 웃움속에 칼을 숨겨갖고 후벼파선 세겹 원진
으로 도사려 놨다간 제利(이)속에 활용해 먹겠다는 것이라 여기 밥거리가 된
다는 것은 그 잡혀먹힌다는 것이다

兌卦(태괘)의 口辯(구변)으로 즐기는 時象(시상)을 맞이하여 九五(구오)가 자
기뜻을 제대로 받아줄 對相(대상)의 呼應(호응)하는 爻(효)를 갖고 있지 못한
데 자기를 올라타고 있는 上六(상육)과 죽이 맞는다는 것은 自己(자기)를 먹을
기름 나오는 것으로 여기고 쥐어짜려 덤벼드는 올려논 맺돌짝과 죽이 맞는 상
황이라 좋을 게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九五(구오)는 직접적인 피해자요 九
四(구사)는 간접적이으로 영향을 받는 同質性(동질성)인데 그 피해를 최대한 줄
이려고 그 동질성의 九五(구오)에게 아주 너가 혼자 짐다 떠맡으라싶이 핍박을
가하려 들것이라

이래 九五(구오)죽어난다는 것이다 對相(대상)이 들어차있는 같은 陽爻(양효)
라 어디 용케 긴급 피란할 곳도 없다 六三(육삼)이 빈자리인 것 같아 그리로 피
란처를 구할 것 같으면 그陰爻(음효)는 바르지 못한 위치인데다가 이미 근접 九
二(구이) 九四(구사) 자기들 피란처라고 탁 버티고 있는지라 九五(구오)는 어
디 도망갈곳 없고 그대로 上六(상육)의 기름짜기 작전에 밥이된 신세니 어이 가
련타 아니 하리 [*사람의 一身(일신)構造(구조)를 나누어 말할것 같으면 발은
땅의 위치 머리는 하늘의 위치 머리에 들은 것은 무언가 바로 정신관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정신관념이 욕구충족을 위해 九五(구오) 肉身(육신) 正常的(정상적)인
탈을 자기죽으로 여겨 自虐(자학)하는 行爲(행위)를 일삼는데 놀아나는 것이 바
로 九五(구오) 움직이는 행위라 할 것이다 쾌락을 즐기기 위해 제 살점 깍이는
줄 모르고 정신의 刺戟(자극)을 주기위해 움직이게되는 모습 그것은 자기를 올
라탄 자에게 갉아먹힘 당하는 모양새란 것이다 ]


飛神上(비신상)으로 볼 것 같으면 아래로 부터위로 巳卯丑(사묘축) 亥酉未(해
유미)이다 未字(미자) 文性(문성)이 上位(상위) 太歲(태세)爻(효)에서 世(세)
를 잡고 있는데 丑字(축자) 文性(문성)이 應對(응대)하고 있어 世應(세응) 比
化(비화)이며 六 卦(육충괘)이다

五位(오위) 兄性(형성) 酉字(유자)가 動(동)하여 申字(신자)로 退却(퇴각)하
는 상항이다 所以(소이) 五位(오위) 兄性(형성)이 動(동)하는 것은 그죽을 맞
추려고 動(동)하는 것인데 죽을 맞추려다보니 力量(역량)이 消盡(소진)됨으로
因(인)해서 退位(퇴위)하는 狀況(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리곤 그 역량을 할타먹
은 世主(세주) 位(위) 未字(미자)는 영양가가 좋아져서 戌字(술자)로 進身(진
신)된 狀況(상황)을 그려주고 있다 할 것이다 그렇다면 世主(세주)位(위)가 좋
아졌는데 自身(자신)이 世主(세주) 位(위)인데 나쁘다할 게 없잖은가 飛神(비
신)作用(작용)으로선 말이다

그런데 對相(대상)을 보니 丑字(축자) 異腹兄弟(이복형제)가 應對(응대)하고
있는지라 그 異腹兄弟(이복형제)는 내가 살찌는 것을 반가워하는 자가 아니란
것이다 그래선   (충)으로  動質(충동질) 했으나 그것은 나를 위한 충동질
이 아니요 나를 沖破(충파)하기 위한 충동질이라 그래선 설령 進身(진신) 戌字
(술자)의 모양으로 변형되었더라도 利權(이권)을 쟁취하려드는 三刑間(삼형간)
을 이룸이라 좋을 게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所以(소이) 丑戌未(축술미) 三刑(삼형)을 이루어선 泥田鬪狗(이전투구) 하다
이런 것을 노리고 있는 者(자)에게 어부지리를 맞게해 줄것이라 그 작자가 바
로 갉아먹는 진짜 웃움속에 칼을 감춘자가 되니 그대로 요리감으로 여겨 잡아
잡순다하리라 卦變(괘변)하면 歸妹卦(귀매괘)가 되어 世主(세주)가 對相(대
상) 丑字(축자)로 가는데 그러면 丑字(축자)가 잡아 잡숩는 양반인가 하면 그
도 아니고 歸妹(귀매)의 世主(세주) 또한 역시 남에 부림을 받는者(자)에 不過
(불과)하다는 것이니

卯字(묘자)의 부림을 받고 卯字(묘자)는 巳字(사자)를 먹여 살려야 할 형편이
란 것이다 결국은 巳字(사자)가 병이 들은 內子(내자) 이거나 어린새끼 칠칠
치 못한 놈인데 그 애비나 애미가 벌어다 먹이는 어지러운 일이 그렇다는 것이
다 도둑놈도 따지고 보면 떨어지는 콩고물이 나 얻어먹는 장물애비의 심부름꾼
이요 장물애비 또한 오른 처지라 할것인가 ? 너만은 바른 위치에 있으니 잘
되어라하는 처자식 먹여살리는 그릇된 몸으로 중심을 잡은 처지란 것이요

그 자식들이나 얻어먹는 處地(처지) 亦是(역시) 바른 위치이지만 以上(이상)
의 諸般(제반)業(업)으로 因(인)해서 온전치 못한 처지를 그려주는 게 巳戌(사
술) 元嗔(원진)相間(상간)에 일을 벌려논 상황인 것이다 四位(사위)亥字(해자)
는 動爻(동효)가 生助(생조)하던 것인데

動爻(동효) 退却(퇴각)하는바람에 그生助(생조)받지 못함으로 인해서 도리혀
그 성격을 정반대로 바꾸어 기운을 얻으려다 못얻으니 이젠 잡아먹는 입으로 化
(화)한모습이라 亥字(해자)가 午字(오자)로 遁甲(둔갑)해서 申字(신자)를 잡아
잡수는 형세를 띄게되는데 잡아잡순다는 것은 부려먹기도 한다는 뜻이라

申字(신자) 動主(동주)를 역마로 부려쓰겠다는 것이니 은혜를 도리혀 원수로
갚으려드는 자이라 賊反荷杖(적반하장)도 유분수라 할 것이다 그래서 근접 丑
字(축자)가 그 기운을 앗는자[생조받는자]로 되어 있으면서도 원진 嫌惡感(혐오
감)을 두는 것이라 할 것이다


巳(사)가 寅(인)을 三刑(삼형)하는 構造(구조)는 吉凶(길흉)이 相伴(상반)격 이
라 巳字(사자)가 世主(세주)도움을 주는 者(자)라하고 酉字(유자)가 巳字(사
자)의 먹이인데 퇴각함으로 因(인)해서 世主(세주)를 살찌워주는 형세이라 이
래 서방酉字(유자)方(방)이 陶朱(도주)처럼 吉(길)하다하는 것 같은데 앞서의
설명을 論(논)한다면 그리 길한 게 없다는 것이다

卯字(묘자)가 寅字(인자)로 퇴각하는 구조에는 世主(세주) 申字(신자) 洩氣者
(설기자)가 午字(오자) 새로운 世主(세주) 无妄(무망)卦(괘)의 主人(주인)에
게 먹히는바 되는지라 午字(오자)는 未字(미자)의 生助者(생조자)라 이래 매우
吉(길)한말을 하게되는데 都是(도시) 말을 잘하여야하고 行動擧止(행동거지)를
바르게 써야지만 그 福(복)이 차게될 것이라는 것이니 찢코 까불른다면 무슨 복
이 된다하랴?

卯字(묘자) 寅字(인자)로 退却(퇴각)하는 것은 抑制(억제)勢力(세력)이 衰微
(쇠미)해진다는 뜻이리라 丑(축)이 辰(진)으로 進身(진신)되는 구조에는 六 
(육충)이 六 (육충)을 發(발)하게되는 形勢(형세)이니 追突(추돌) 횡액을 조심
하라는 것이다 그러잖으면 탁- 깨어선 길한 것을 쟁취하는 형세이라 좋다 아니
할수 없는 게 世主(세주)申戌構造(신술구조)나 세주 午未(오미) 구조가 되어
선 後世(후세)가 前世(전세)를 살리고 나아가는 모습이라 매우 吉(길)하다 하
였다 아뭍튼간에 추돌을 조심해야한다

辰(진)이丑(축)으로 退却(퇴각)하는 구조는 재물이 들어왔다 나가는 운세가
된다하였고 火性(화성)은 가까이말라 하였는데 辰(진) 丑(축)은 生助力量(생조
역량)의 경쟁 상대자인 것이라 木庫(목고)인 世主(세주)가 깨어지면 튀어나오는
게 땔나무라 좋아할 것은 불밖에 없다는 것이다 寅(인)이 丑(축)으로 退却(퇴
각) 丑(축)을 물어드리는 구조는 寅(인)이 원래 살구나무인데 꽃 피었다 맺히
는 수순이 火(화) 다음은 土(토)라 丑(축)이 열매가되는데 그 살구나무 열매이
기도하고 그 사촌 복숭아의 열매이기도 한 것이 世主(세주)木庫(목고)를 妬(투)
 (충)하길 즐기는지라

또 寅卯(인묘)가 桃花(도화)요 文昌(문창)이라 世主(세주) 吉(길)하기도 하
지만 損財(손재)도 끼치는 者(자)라 하였으니 조심하라하였다 子(자)가 움직
여 丑(축)을 업어드리는 구조는 이것이 對相(대상)丑(축)이 妬合(투합)이라 활
발하게 합하려고 움직이려 들것이라 간접   動合(충동합)을 받는데 뜻밖에 사
람이 獻上(헌상)을 하리라 원래 子(자)는 丑(축)의 짝이나 未字(미자)에게도
먹이가 된다하는데 丑字(축자)가 잘 適合(적합)을 시켜선 예쁘게 해서  動質
(충동질)해오는 것이라 嫌惡(혐오)스럽고 미운 것은 아닌 게 되리라

子(자)는 水性(수성)인데 水性(수성)은 音靈五行上(음령오행상) ㅁ, ㅂ, ㅍ, 인
데 이것을 合(합)해오는 것은 丑(축)이라 丑(축)은 母音(모음)에 該當(해당)하
는 것인데 지금 子(자)를 合(합)한 立場(입장)이라도 世主(세주) 未字(미자)
를 妬(투) 到 (도충)타 보면 庫門(고문)이 아주 아니 열린다

할수 없으니 丑(축)은 金庫(금고)이라 이래 金性(금성)에 該當(해당)하는 母音
(모음)이 되니 서방을 가르키는 아, 발음의 母音(모음)이 된다 [* 拙著(졸저)
아무러크소니 중에 보라 ] 從聲(종성) 卯字(묘자) 木性(목성)[ ㄱ , ㅋ, ] 을
달고 있으니 흔해 빠진姓(성) 박씨의 獻上(헌상)이나 도움이라 하였다 이것이
옛사람의 논리와는 거리가 멀은 迷信(미신)같은 해석이라 할는지 모르지만 궤
변적인 이치는 그럴듯해 보이지 않는가 이런 내 논조다

* 子(자)가 丑(축)을 합하면 세주 未字(미자)를 對相(대상)인 丑(축)이 倒 
(도충)하질 못할래기라 그리되면 酉字(유자)帝旺(제왕)金氣(금기)가 頂上位(정
상위)에서 퇴각하는 마당에 자연 木性(목성)이 힘을 얻어 旺(왕)해져선 그 세주
인 墓(묘)庫(고)로 돌아갈 것이라 이래서도 목성의 속성인 姓中(성중)에서 제
일 흔한 朴(박)姓(성)이 墓(묘)庫(고)로 돌아가는 것과 같음인지라 그래 세주
박성의 도움을 받는다해도 말이된다 할 것이나 어쩐지 논리성이 결여된점이 있
지 않는가 한다

亥卯未(해묘미)는 木三合(목삼합)局(국)인데 世主(세주)는 木三合局(목삼합국)
에 該當(해당)하는 墓庫(묘고)이라 子丑(자축)은 木局(목국)의 沐浴(목욕) 冠
帶(관대)方(방)이라 分明(분명)코 獻上(헌상) 物件(물건)이 沐浴(목욕)하거나
治粧(치장)하는데 물건이 된다할 것이다




* 126 履之澤卦(이지택괘)
飛神(비신)
戌 未 世 動
申 酉
午 亥




* 引兌(인태) , 이끌어서 즐기는 모습 기뻐하는 모습이다

* 兌之上(태지상)의 引兌(인태)란 그 아래 主導權(주도권) 頂上位(정상위)의 陽
氣(양기) 기운을 갉아 먹고 소이 꿔와서 즐기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 이는 왜인
가? 대상 음양 호응 죽이 못되고 근접 주도권 정상위의 죽과 그 음양 죽이 맞
는 관계를 연출하기 때문이다 그 정상위는 其實(기실)은 그 호응하는 죽보다 상
당히 實(실)한 그러한 위치라는 것이다 飛神上(비신상)으로도 그 酉(유)가 申
(신)보다 實(실)한 모습이라 이것을 위 世主爻(세주효) 未(미)가 당겨 올리는
것이라는 것이다, 소이 꿔온다 빌려간다 소이 갉아먹어서는 자신을 그 戌(술)
로 진취시키고 정상 주도권 위는 신으로 쇠퇴시키는 모습이라

소위 그 세주의 예기 기운을 거둬들이곤 그만 못한 쇠진한 위치 申(신)으로
만들어서는 그 아랫 천하 수레 午(오)를 끌어올리는 역마를 만든다는 것이리
라 그래되면 도리혀 그 다음의 世申(세신)이 實狀(실상)은 고달프지 않겠는가
이다 임시는 아쉬워서 그 債務(채무)를 지면서 婚事(혼사)를 치뤘다면 그 채무
를 갚을려면 빚에 시달려야 하지 않겠는가 이다 申(신)은 午(오)라는 수레를 끌
어올려서는 戌(술)이나 未(미)의 根(근) 역할을 해선 그 기운을 돋구어선 먼저
번에 즐기느라고 졌던 채무를 갚아야 되지 않겠는가 이다

소위 午字(오자)를 그 金氣(금기) 酉(유)의 관록 소위 서방의 먹이 감으로 제공
해야 한다는 것이리라 그런데 그것을 당겨 올리는 것도 쉽지만은 안은 것이 午
(오)를 根氣(근기)라고 여기는 內卦爻(내괘효) 三位(삼위) 丑(축)이란 넘이
그 원진 관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요 그 丑字(축자)역시 그 巳字(사자)란 넘
이 卯字(묘자) 根(근)을 대고 파먹는 그런 상황에 몰린 입장이라

이렇게 복잡다단한 것이 소이 세상사인 것이다 그러니까 午(오)를 먹여 살린다
는 것은 그만큼 아랫것을 먹여 살려야할 책무가 막중하다는 것이리라 괘변하면
그 세주가 원진을 대상으로 두고 있게 되는데 그것도 그 丑(축)이라 하는 세
주 봉죽 될만한 자를 파먹고 있고 그 丑(축)이란 넘 역시 性(성)은 봉죽이지만
지금 자신에게 그 根氣(근기)를 대고 파먹는 입장이라 실상은 원진재 卯字(묘
자)가 그 丑(축)을 썩죽여 주는 것이 오히려 後世主(후세주)申(신)에게는 덕이
될 수도 있다할 것이다

아뭍든 이래 꿔 와서 즐긴다는 것은 그 나중은 어려운 사정인 연출된다는 것이
다 하지만 그 天澤履卦(천택이괘)는 세겹 원진이 도사린 괘로서 상당히 그래 노
력하여서는 비축하는 모습이라 그 채무를 갚느라고 배전의 노력 분발한다면 오
히려 그전의 빚진 채무가 발단된 것이 그 부자가 되는 방향으로 이끌음 일수도
있지 않나 하여보는 것이다

*變卦(변괘) 兌爲澤卦(태위택괘) 上爻動(상효동)으로 볼 것 같으면 卦爻辭(괘효
사)에 이르기를 兌(태)라는 의미는 즐거웁다는 뜻이다 즐거웁게되는 것에는 형
통하게되어 있는 것이니 굳건하고 바름이 마땅하니라하였다


彖辭(단사)에 하길 태는 기뻐하는 모습이니 또는 그렇게 말하는 것이니 그 괘
상의 생긴 모습을 볼진대 강한 양기 기운은 가운데하고 부드러운 음기 기운은
밖같에 하여 기뻐함으로서 굳건하고 바르어서 마땅하게 되는지라 이래서 하늘
에 도리에 순응하고 사람과 사람의 사이에서도 호응을 받아서 깃거운 원리로서
백성에게 먼저하게 하면 백성이 그 괴로움을 잊고 깃거운 원리명분으로서 어려
움을 범접하게 하면 백성이 그 죽음도 불사하고 잊나니 기쁘게 하는 원리 백성
을 크게 힘쓰게 하는 원리이요 방안이다 하였고,

象辭(상사)에서는 거듭 걸린 못이 깃어운 모습을 짓는 상이니 군자는 이를 보
고 응용하대 講(강)하고 익히는 것[習]을 벗삼는다 즉 즐거운 마음으로 번복되
는 과정을 익힌다는 것이다 또는 벗들을 모여들게 하여 강론하고 능숙해 지도
록 익히는 일을 하여 그 즐긴다는 뜻도 된다하리라


* 이러한 時象(시상)을 當到(당도)하여 上六(상육)의 動作(동작)은 이끌어서 즐
기는 모습 기뻐하는 모습이다 하였다 소이 끌어당기고 借入(차입)해서 즐기
는 모습이라는 것이니 그리 좋은 사항은 아니라는 것이다 上六(상육)이 陰位
(음위)에 陰爻(음효)로 있어 자기위치이나 그 괘의 막효 로서 지나치게 높고
그 대상과 호응 받지 못하는 상태로서의 즐거움을 얻으려는 모습인지라 천상간
에 어디에서인가 그 빌려와서 즐길 수밖에 더 있겠는가 이다

그래서 그 대상호응은 아니지만 근접 九五(구오)와 죽이 잘 맞고 또 九四(구
사)의 받침도 있는지라 이래 이들에게 그 꿔오듯 해 갖고는 즐거움을 누릴려 하
는 모습이니 그 적당하고 정당한 즐거움의 방법을 채택한 것은 아니란 것이다
그래서 그 좋다 말할 수 없다는 것이리라 소이 향락을 누리기 위한 채무지는
것은 나중에 그 빚에 시달리고 쪼들리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 飛神上(비신상)으로 봐도 이 뜻이 잘 드러나 있는데 未酉亥(미유해)로 順生
(순생)을 잘 하던 것인데 上位(상위) 太歲(태세)가 동작하여 그 스스로 상위
가 즐기기 위해 내려 순생하던 기운을 거두고 上位(상위)를 되려 그 기운을 아
래로 내리던 것을 치당겨 올려 진취되는 경향이고 아래 五位(오위)는 쇠진시키
고 四位(사위)는 그 힘 供給源(공급원)을 쇠진시키고는 그 일하여 먹으라는 듯
이 그 먹이 거리를 進頭(진두)로 물리는 모습인 것이다

이러니 그 좋은 사항이 연출되지 않아선 六 (육충)이 세겹 元嗔(원진)으로 접
혀 시드는 모습을 취하고 있음인 것이다 피었던 꽃이 접혀 시드니 그 시름이
되어 열매맺어 시드는 것이라면 좋으렸 만은 그 卦(괘) 爻象(효상)의 의미[없음
에 꿔와서 즐기는 채무자가 됨]를 볼진대 그렇치 못한 모습을 갖고 접히는지
라 이래 길치 못한 상을 그린다는 것이리라 太歲(태세)에 있는 世主(세주) 이
유 있어 탈잡혀 동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그 태만하고 게을러진 상태 그래서
는 벌어 논 것 없이 즐기려는 모습인지라 이래 빚을 지게 될 것이니 좋은바 없
다는 것이다


* 외상이면 검정소도 잡먹는다고 갚을 능력도 되지 않으면서 카드 막 긁으면 갚
느라고 고생할 것 아닌가? 임시론 꿔와서 즐기는지라 未(미)가 戌(술)로 진취
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그 아래 줄줄이 파먹고 오르려는데 원천의 근기 역할을
해야 할 판이니 고역이 여간 아니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연중에 대상을 보니 三
刑(삼형)이라 빛독촉이 말이 아니라 할 것이다 그래 戌(술)된 내가 申(신)이란
銳氣(예기)를 내리면은 三刑(삼형)이 자기에게도 껄끄러운 원진 午字(오자)의
근기를 대고 파먹으면서 오르는 것인지라 서로에겐 고만 고통이라는 것이다

丑(축)이란 넘은 또 다른 넘에게 채무를 않졌나 그 넘도 남 돈꿔와 갖고는 빌
려준 빛 보인 선 넘 이나 마찬가지라 巳字(사자)란 넘이 卯字(묘자)란 근기를
대고 막 파먹으면서 빛 갚으라고 재촉할 것은 뻔한 일이요 아님 집이라 하고
찾아 들어가니 그 넘의 강짜부리는 식솔들이 꺙꺙거리는 모습이라 할 것이다
* 도통 무녀 딸랑이 정신만 사납게 흔들어재켜 혼쭐을 빼니 굿덕 크게 보겠고
나 아주 거덜난다 하리라



* 섣달 괘이면 유년변괘가 中孚(중부)될 것이니 삼위 丑字(축자) 동작하여 辰字
(진자) 진취되는 모습은 그 세주대상 힘의 의지처가 진취되는 모습인지라 길
하다 하였으니 그 三刑(삼형)의 동작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세주와 그對
相(대상)이 兼(겸)하여 動(동)하여 다시 六 卦(육충괘)를 이루니 이래서도 그
길함을 알만하다 하리라 中孚(중부)에서 小畜(소축)되는 流年運(유년운)에 섣
달은 길하다는 의미이리라

삼형이 대상에 동작하여 그 진취성향을 띈다해서 그 佛前(불전)에 기도하면 利
權(이권) 競爭(경쟁)하는 힘이 내게 쏠려 붙게 神佛(신불)이 도움을 줄 것이라
는 것이니 의외 성공을 거둔다하고 일마다 형통하고 입신양명한다하였다 世主
位(세주위)가 天(천)卦(괘)되어 같은자리 戌字(술자)로 진취성향을 띄는 것만
보아도 알리라 요컨대 借入(차입)한 즐거움이지만 대상 주위환경의 도움으로
그 차입한 借款(차관)을 갚게 되었다는 것이리라 그래선 그 즐거움이 滔滔(도
도)하다는 것이리라


이위 卯字(묘자) 동작하여 寅字(인자)로 退却(퇴각)하는 구조역시 길한데 처음
엔 그 극제하는 자가 동작 하는 것이라 받들 위치인데 받들지 않고 剋制(극제)
하려 드는지라 이래 內外(내외) 不順(불순)하다 하였으나 역시 그 퇴각하려고
움직인 것이라 그 대상 丑字(축자)가 氣槪(기개)를 펴선 주위환경 依支處(의지
처)들이 좋아질 것이라 이래 길하다 하였는데 晩時(만시)에 財福(재복)을 가히
이룬다 하고 대상 丑(축)이 水庫(수고)로 변하는 지라 물가에 가면 반드시 재물
이 생긴다 하였다

초위 巳字(사자)동작하여 寅字(인자) 三刑(삼형)을 맞는 모습은 근기 될만한 것
이 動(동)한 것은 도우려 동한 것이었으나 그 접속 되는 것이 길치 못한 상이
라 이래 나쁘다한다 세주 대상 丑字(축자) 到 者(도충자) 곁에 午字(오자)가
와서 대상이 원진을 맞아 험악한 상으로 돌변하게되는지라 세주 주위 상황으로
인하여 덕을 볼 처지가 않 되고 되려 손해를 입을 형편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래 길치 못하다는 것이다

寅巳(인사)를 가리키는 동남 두 방위에 출행하지 말라하였다 中孚(중부)에서
渙(환)되는 流年運(유년운)의 섣달은 좋지 않다는 것이다 所以(소이) 喪門(상
문)動作(동작)이요 世主位(세주위) 午字(오자)로 가는 것은 그 좋을 듯 하지만
그對相(대상) 根氣(근기)가 三刑(삼형)을 맞고 또 渙卦(환괘) 世主位(세주위)
는 世主(세주) 生處(생처)라 하나 所以(소이) 喪門(상문)位(위)가 되는지라 그
것거운 자리이동이 아니란 것이리라


유월 괘이면 유년변괘가 需(수)가 될 것이니 삼위 들어온 辰字(진자)가 동작하
여 다시 丑字(축자)로 化(화)하는 구조는 길함은 적고 흉함은 많을 모양이다
해가 중천에 걸리니 금 옥이 만당한 모습이라 하고 要(요)는 세주대상 辰字(진
자)가 동작한 모습은 그 丑字(


   

 


 

Copyright ⓒ www.lifesc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