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6,230건, 최근 0 건
   
鼎卦(정괘)屯卦(둔괘)隨卦(수괘)蠱卦(고괘) 연계해석
날짜 : 2006-11-05 (일) 09:35 조회 : 1150

솥이라 하는 것은 음식을 익혀 잘 담은 것이라 그 四爻(사효)의 입장에서는 그
미천한 이와 노닥거리다간 솥에 음식을 쏟아버린 형국이라 소이 솥발을 잘못 놓
는 바람에 부러트리는 결과를 초래해선 그 안에 들은 음식을 쏟아 엎은 형국이
되는지라 그 애를 밴 것으로 말한다면 産(산)달이 거의 가까움에서 十年積功(십
년적공)이 하루아침에 虛事(허사)가 되듯이 그렇게 流産(유산) 出産(출산)을 하
였다는 것이라



솥의 입장에서는 이래 죄인의 몸 허물을 갖은 모습을 아니 띨 수가 없는지라
처신을 어떻게 할 줄 몰라선 상기된 모습에 땀을 뻘뻘 흘리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고, 이것은 流産(유산)을 하여선 그 배었던 것이 쏟아져 나온 모습 피가 낭자
하게 흐르는 모습을 상징하는 말일수도 있으리라



그러니 그 솥이 빈 솥이 되었을터 그 反對體(반대체) 水雷屯卦(수뢰둔괘) 四爻
(사효)에서는 그 어려운 시기라도 좋은 원리의 어려운 시기의 위치가 되어선
빈 솥에 다시 種子(종자)씨를 집어놓는 행위를 하지 않을수 없다는 것이요[소
이 그런 어려운 일이라는 것이다] 이는 곧 새로 밥을 하려고 역시 다시 쌀을 앉
치는 행위와 같은 것 그래서 그 마타기 놀이를 벌이는 모습이 乘馬班如(승마반
여[성행위 하느라고 성적대상자에게 탓다 내렸다 하는 모습)라 그 婚 (혼구)놀
이를 찾는 모습이니 추진해가고 보면 길하여선 이롭지 아니함이 없다는 것이
요,



그 先行契機(선행계기) 隨卦(수괘)에서는 그 솥이 되어주는 그릇이 되어 있는
모습인지라 그렇게 몸을 씨 받이로 대어줄 입장이라 쫓음에 얻는 것이 있으
면 바른 자세를 갖더라도 나쁘리니.... 생각해 보라 씨를 받았으니 처녀의 몸
만큼 행동이 원활 하겠는가를....여기서는 이것을 말하는 것임이라 그렇게 요
구하는 자에게 몸이 사로잡혀 있다면 道理(도리)를 갖고선 事理(사리)를 밝게
분변 한다면 소이 핑계 없는 무덤 없고 처녀가 아이를 낳아도 할말이 있다고
대의명분을 밝게 밝힌다면 무슨 허물이 될 것이 없다는 것이요 이는 오히려 밝
은 功勳(공훈)을 갖게 될 것이라고 象(상)에서는 말하고 있음인 것이요



그 反對體(반대체) 山風蠱卦(산풍고괘) 四爻(사효)에서는 餘裕(여유)분 있는 龜
頭(귀두)속의 精子(정자) 그릇의 역할이니 그러니깐 말하자면 많은 것을 가진
것 그렇게 만들어줄 팽대한 남자 연장과 같은 그런 모양새인데 이것을 씨 種子
(종자)삼아선 재벌 넣어주는 행위는 그 그만큼 泄氣(설기)당할 것이라 그래
서 그 추진하고 보면 아까운 맛을 볼 것이라고 하고 있음인 것이라 그만큼 종
자 넣는 행위를 벌인다는 것은 역량이 나아간다는 것이나 그 다시 鼎卦(정괘)
어머니 몸을 잘 이룰 것이라 좋게 進就(진취)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象(상)
에서 말하는 裕父之蠱(유부지고)라 하는 것은 그 自身(자신)이 뭔가 얻는 행위
를 짓는 것은 아니라 하는 것이니



생각을 해봐라 種子(종자)씨 넣는 행위를 하는 것인데 자기에게서 그 種子(종
자)씨가 나가는 모습인데 그런 행동이 무엇을 얻는 것인가 射精(사정)을 해선
잃는 행위이지,... 그렇더라도 잃는 행위처럼 지어 보이지만 그 火風鼎卦(화풍
정괘)를 지어 보이는 지라 상당하게 그 富裕(부유)함[ 부인네에게 다시 애를 배
게한 모습]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가 도 하여보는 것이다 鼎卦(정괘)는 飛神(비
신) 논리로 본다면 火宮(화궁)卦(괘) 世(세)二爻(이효)丑(축)이지만 金局(금
국) 巳酉丑(사유축)을 짓는지라 그 財性(재성)의 旺(왕)함을 보여주는 괘이기
도 한 것이다



이렇게도 생각할 수가 있는데 蠱(고)의 立場(입장)으로서는 그 鼎(정)四爻(사
효) 將材(장재)가 실수를 하여선 임금님께서 받으신 중요한 事案(사안)도맡은
것을 잃어버리는데 대하여 그 養分(양분)을 대어줄 입장인지라 이래서 그렇게
추진하고 보면 창피한 모습, 아까워져 보이는 모습을 보게되리라 이런 말도 된
다 할 것이지만,

일단은 鼎卦(정괘)의 음식을 엎은 뒤라면 그 다음 그 새로 밥을 짓는데 다시 채
워 넣어줄 밥 재료 種子(종자=쌀)씨로 해석하는 것이 더 타당하지 않는가 하여
보는 것이다 屯卦(둔괘)와 隨卦(수괘)를 행위를 말하는 것 행동을 말하는 것
이 아닌가하고 蠱卦(고괘)와 鼎卦(정괘)는 그릇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한다 아
님 屯卦(둔괘)와 蠱卦(고괘)가 행위행동, 鼎卦(정괘)와 隨卦(수괘)가 그릇이기
쉬우리라
이상은 鼎卦(정괘)屯卦(둔괘)隨卦(수괘)蠱卦(고괘) 연계해석이었다



   

 


 

Copyright ⓒ www.lifesci.net. All rights reserved.